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서울 강남 3구 아파트값이 들썩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6일 발표한 '3월 첫째주(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오르며 전주(0.11%)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특히 강남3구 중 하나인 송파구가 0.68% 급등하며 서울의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주(0.58%)보다 상승 폭을 더 키운 것은 물론 2018년 2월 첫째주(0.76%) 이후 7년 1개월만의 최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이어 강남구(0.38%→0.52%)와 서초구(0.25%→0.49%)가 나란히 상승폭을 확대하며 강남3구가 상승률 1∼3위를 차지했다. 강남구는 2018년 9월 첫째주(0.56%) 이후 6년 6개월만의 최대 상승률이다. 서초구도 지난해 8월 넷째주(0.5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에 따라 강남 3구와 강동을 포함하는 동남권 매매가격지수도 0.48% 올랐다.
3개구 모두 토허제 해제 대상 지역이라는 점에서 토허제 해제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달 12일 잠실·삼성·대치·청담 등 일부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구역에서 해제되면 갭투자(전세 끼고 매수)가 가능하다.
강북 14개구에서는 광진구(0.11%)는 광장·자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마포구(0.11%)는 염리·아현동 준신축 위주로, 용산구(0.10%)는 이촌·서빙고동 위주로 상승했다. 노원구(-0.03%)는 상계·중계동 위주로, 도봉구(-0.02%)는 쌍문·도봉동 위주로 하락했다.
부동산원은 “일부 지역이나 단지에선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관망세가 나타나나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수 문의가 꾸준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경기는 전주와 마찬가지로 0.04% 내렸다. 인천은 0.03% 내리며 하락세가 지속됐으나 전주(-0.06%)보다는 하락 폭이 줄었다.
경기와 인천의 동반 하락에도 서울의 상승세에 힘입어 수도권은 0.01% 오르며 11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지방은 0.05% 내리며 낙폭을 키웠다.전북(0.04%), 강원(0.01%) 등은 상승했으나 대구(-0.11%), 경북(-0.10%), 광주(-0.06%), 부산(-0.06%), 대전(-0.05%), 경남(-0.04%), 전남(-0.04%) 등은 일제히 하락했다. 울산은 보합(0.00%)을 나타냈다.
전국적으로는 0.02% 내리며 14주 연속 하락했다.
전세시장은 지난주와 비슷한 흐름을 나타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와 마찬가지로 보합을 나타내며 제자리걸음을 했으나 서울은 0.03% 오르며 전주(0.02%)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