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양국의 2+2 통상협의를 앞두고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사전 실무협의를 갖고 상호 관세 부과 철폐가 목적임을 분명히 했다.
24일 기재부 및 산업부 등에 따르면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워싱턴D.C. 모처에서 만나 사전 실무협의를 가졌다. 2+2 통상협의를 앞두고 우리 정부의 입장을 정리하기 위한 만남으로 풀이된다.
미국 측 제안으로 25일 재무부 청사에서 열리는 이번 2+2 통상협의에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한다. 회동 장소가 백악관과 인접한 만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깜짝 방문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관세 협상차 미국을 방문한 일본 경제재생상과 예고에 없던 만남을 가진 바 있다. 이에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도 대비해야 한다.
다만 이번 협의는 관세협상의 탐색전 성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협상(negotiation)이 아닌 협의(consultation)라는 표현을 택한 만큼 구체적인 요구 조건을 주고받거나 결정하기보다는 상호 간 의견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최 부총리는 지난 23일 “미국 측 관심 사안을 경청하고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우리가 서로 도움되는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니 그렇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두고 미 관세정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언급된 무역균형, 조선, 액화천연가스(LNG) 3대 분야를 중심으로 한미 상호 간의 관심 사항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한 자동차 관세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특정한 만큼 관심이 가는 분야다. 정부는 현대차가 미국에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혔던 점들을 토대로 미국에 적극 어필하겠다는 방침이다.
다행스러운 건 미국이 최근 공격적인 관세정책에서 한 발짝 물러서는 기류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과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2∼3주 내 자체적으로 새로운 대중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대중 관세 145%는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협상을 거친다면)그 정도로 높아지진 않을 것”이라고 시사했다. 이는 중국 측을 향해 무역 협상 테이블에 마주하라고 던지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세종=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