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격적인 추석 연휴가 시작됐지만,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국가 전산망 장애 복구율이 여전히 10%대에 그치면서 시민 불편과 혼란은 연휴 내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안전디딤돌 등 재난안전 관련 시스템이 아직 복구되지 않으면서 국민 안전 관리에도 비상이 걸린 상태다.
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총 647개의 정보 시스템(서비스) 중 복구가 완료된 서비스는 전날 낮 12시 기준 1등급 21개를 포함해 112개다. 복구율은 17.3%다.
서비스 복구는 지난달 26일 화재 발생 이틀 만인 28일 우체국 예금 등 27개를 시작으로 꾸준히 늘었다. 29일에는 하루 만에 81개까지 증가하기도 했다.
현재까지 복구된 서비스는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우체국 금융, 인터넷 우체국(우편·택배), 우편 물류, 조달청 나라장터, 복지로, 하도급 지킴이, 공직자 통합 메일 시스템 등이다.
하지만 이후부터는 하루 10개 안팎에 그치면서 복구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도 전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현재의 복구 속도가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전반적으로 복구 속도가 더딘 이유로 '시스템 연계' 문제를 꼽고 있다.
김민재 차관은 전날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화재 영향이 적은 1~6 전산실(2~4층) 시스템의 경우에도 화재가 발생한 7~8전산실(5층) 시스템과 연계돼 운영된 것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번 화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전소된 7-1 전산실(5층) 내에는 96개 정보 시스템이 포함돼 있는데, 이들 시스템이 다른 전산실의 시스템과도 연관성이 크다는 것이다.
김 차관은 "이에 시스템의 빠른 복구를 위해 5층 전산실 복구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며 "화재로 녹아내린 7~8전산실 전원장치 수리는 전문업체 지원을 통해 통상 1개월 소요되는 것을 열흘 안에 완료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해 서비스를 재구축하는 작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96개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 화장시설 예약 서비스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업무 시스템 '온나라 시스템', 재난안전 포털 앱인 '안전디딤돌' 등이 포함돼 있다.
문제는 서비스 복구가 지연되면서 연휴 기간에도 국민 불편과 피해가 불가피해졌다는 점이다. 물론 이 기간 공공기관들이 문을 닫는 만큼 대민 서비스에 큰 지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민 재난안전 대응에는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김 차관도 전날 "연휴 동안 저희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국민 안전"이라며 "지금 안전디딤돌이나 재난안전포털 같은 재난안전 시스템이 복구되지 않아 우선적으로 복구하려 한다"고 전했다.
재난 등 비상사태 시 국민에게 신속하게 상황을 전파하고 대처 방법 등을 안내하는 데 차질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빨리 관련 시스템을 복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긴급한 상황 발생 시에는 재난안전통신망(PSLT)을 통해 상황을 전파할 예정"이라며 "국민이 알아야 할 재난 정보는 재난 문자를 활용해 안내하고, 국민행동 요령이나 대피·장소 등은 네이버 등을 활용하도록 조치돼 있다"고 했다.
다만 소방청의 119 이동전화 위치정보 시스템과 119 다매체(문자·영상) 신고 시스템은 복구가 완료돼 정상 가동 중이다. 소방청은 "아직 복구되지 않은 시스템도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연휴 기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차관은 "연휴 기간 내내 범정부 대응 체계를 갖춰 국민 안전에 철저를 기하고, 중앙부처와 지자체 간 24시간 상황관리 체계를 유지하겠다"며 "수습과 복구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24시간 비상근무체계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