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웅의 ‘디지털트윈 기반 바이오의약품 차세대 제조공정 기술개발’이 국책 과제로 뽑혔다. 디저털트윈은 바이오의약품의 생산 공정을 가상 환경에 정밀하게 재현,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정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는 차세대 제조 기술이다
대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제1차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사업에 자사의 디지털트윈 기반 기술개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최근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어 단 한 번의 공정 오류나 지연에도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디지털트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다.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온도, 시간, 습도 등 다양한 조건을 일일이 바꿔가며 실험을 반복해야 하는 기존의 실험 설계 방식과 달리, 디지털트윈은 다양한 공정 조건을 시뮬레이션해 최적의 공정 조건을 실시간으로 빠르게 도출할 수 있다. 공정 개발 과정의 유연성을 높이고, 생산성과 품질을 개선하는 동시에 개발 기간과 비용 절감에도 기여하는 것.
이번 과제는 디지털트윈을 생산 공정에 본격 적용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디지털 자동화·무인화·데이터 기반 제어 역량을 실질적으로 강화함으로써, 첨단 제조공정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바이오의약품 제조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국가 경쟁력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웅 측은 “이번 국책 과제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주요 공정인 세포 배양부터 정제까지 전 과정을 통합한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바이오의약품 제조에 적용해 실제로 잘 작동하는지를 검증하는 실증 연구를 수행한다”며 “디지털트윈 기술이 제조 공정을 얼마나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실제 생산 공정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웅은 대웅제약 오송 스마트팩토리에 이미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유지민 대웅 바이오R&D(연구개발)센터장은 “이번 국책 과제를 통해 연구개발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겠다”며 “첨단 기술과 정밀한 데이터 기반 예측을 통해 국내 바이오 공정 산업 분야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