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가 5180만명을 웃돌면서 2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내국인은 3년 연속 감소한 반면, 외국인 체류자는 약 11만명 증가에 사상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한국의 총인구는 5180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3만1000명(0.1%) 증가했다. 2021년부터 2년 연속 감소하던 인구는 2023년 반등 이후 2년 연속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내국인은 줄고 외국인은 늘어나는 추세다. 내국인은 전년보다 7만7000명(0.2%) 줄어든 4976만3000명으로 총 인구의 96.1%로 집계됐다. 외국인은 통계 집계 이래 처음 200만명을 돌파했다. 전년 대비 10만8000명(5.6%) 증가한 204만3000명으로 총 인구의 3.9%를 차지했다. 2022년 증가세로 전환 후 3년 연속 늘어나고 있다. 국적을 살펴보면 중국 국적 동포(한국계 중국인)가 53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28만5000명, 중국 국적 비한족 22만3000명, 태국 17만8000명 순이었다. 통계청은 “고용허가제 확대와 유학생 유입 등 이민 기반 인구 구조 변화가 본격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령인구의 급증도 눈에 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12만2000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사상 처음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 전체 인구의 19.5%다.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26만3000명으로 전체의 70.0%를 차지했다. 생산연령인구는 2018년 정점을 찍은 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유소년인구(0~14세)는 542만명(10.5%)으로 전년 대비 3.5% 감소했다. 중위연령은 46.2세로 전년보다 0.6세 증가했다. 노령화지수(유소년 100명당 고령인구)는 전년 대비 15.7포인트 오른 186.7로 집계됐다. 2019년(122.3)과 비교해도 50% 이상 오른 수치다.
권역별 인구를 살펴보면 수도권 인구가 2630만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50.8%를 차지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19년 50.0%를 기록한 뒤 매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가 1391만4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933만5000명), 경남(326만4000명), 부산(325만7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부산·광주·대전·울산 등 특·광역시는 지난 5년간 인구가 지속해서 줄어들었다.
가구 형태 변화도 뚜렷하다. 1인 가구는 804만5000가구로 전체 일반가구의 36.1%를 차지했다. 2인 가구까지 포함하면 전체 가구의 65.1%가 1~2인 가구다. 특히 서울의 1인 가구 비율은 39.9%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4인 이상 가구는 전년보다 13만 가구 줄었다. 가구 분화가 계속되며 가구 수 자체는 늘고 평균 가구원 수는 줄어드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평균 가구원 수는 2.19명이다.
주택은 총 1987만호로 전년보다 1.7%(32만6000호) 늘었다. 아파트는 1297만호(65.3%)로 2.7% 증가했다. 단독주택은 384만호로 0.5% 감소했다. 전체 주택의 28%는 지은 지 30년 이상 된 노후 주택이다. 단독주택은 절반 이상이 노후 주택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반지하·옥탑 주택 통계도 집계됐다. 반지하는 26만1000호(1.3%), 옥탑은 3만4000호(0.1%)였다. 반지하 주택의 97.3%가 서울·경기·인천에 몰려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