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美 바이오의약품 공장 인수한다… “트럼프발 관세 대응”

-현지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 우선협상자 선정
-서정진 회장 “메이드인 USA 제품 판매 준비 완료”

 

셀트리온이 미국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에 나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의약품에도 품목별 관세를 매기겠다고 나선 터라 더 이목을 끄는 행보다.

 

29일 센트리온은 미국 현지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의 인수 입찰에서 글로벌 기업 두 곳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해당 공장은 미공개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DS)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 생산 시설이다.

 

현지 주요제약산업 클러스터에 자리 잡은 해당 시설은 수년간 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주요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해왔다. 피인수 기업명을 포함한 상세한 내용은 양측 협의에 따라 오는 10월초로 예상되는 본 계약 체결 시까지 비공개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공장 인수 및 운영에는 7000억원 정도가 투입될 것”이라며 “미국 관세 범위에 따라 증설할 경우 추가로 3000억∼7000억원이 들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음달부터 10월 첫째 주까지 본 계약을 추진한다고 하면 미국 정부 승인까지 거쳐 연내 해당 시설을 100% 인수하게 될 것”이라며 자금 조달은 자체조달과 금융기관 협조가 병행될 예정이라고 했다. 올해 4분기 공장 경영을 시작하고 내년 하반기에는 셀트리온 제품이 병행 생산될 것으로 내다봤다.

 

서 회장은 공장 인수를 결정한 배경에 대해 “미국에 백지상태로 공장을 짓는 것보다 경제적, 기간적 측면에서 인수가 나을 것으로 판단했다”며 “셀트리온 제품을 메이드인 USA 상품으로 만들어 판매할 준비를 마쳤다. 시간을 벌기 위한 재고도 2년 치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공장은 좋은 인력도 많이 확보하고 있다”며 “인수를 통해 미국관세 리스크를 해결을 위한 마지막 단계로 가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서 회장은 이번 투자가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기업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와는 무관하다며 “CDMO 관련 투자는 미국 관세 정책이 좀 더 명확해지는 시기에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셀트리온홀딩스가 다음달 5일부터 2500억 규모 셀트리온 주식을 매수할 계획이 있다고도 전했다.

 

셀트리온은 관세 대응을 위해 선제적으로 조치한 2년치 재고의 미국 이전, 현지 CMO(위탁생산)사 계약 확대에 이어 근본적 해결책인 현지 공장 인수까지 앞뒀다. 최종 절차가 마무리되면 미국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들을 현지에서 바로 생산할 수 있어 해당 제품들에 대한 의약품 관세를 완전히 회피할 수 있다.

 

미국 내 의약품 판매 추이와 신규 제품 출시 타임라인을 고려해 곧바로 추가 증설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증설이 마무리되면 송도 2공장의 1.5배 수준까지 캐파 확장이 가능하다. 설비 증설이 완료되면 원료의약품은 물론 완제의약품(DP) 및 포장 물류 거점까지 미국 내 공급되는 의약품 생산 전(全)주기 과정을 현지 공장에서 소화하게 될 것으로 셀트리온은 기대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공장 인수를 마무리하면 경제성과 사업성을 갖춘 최적의 시설을 미국에서 확보하게 돼 최단기간 내 미국 관세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할 전망”이라며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요 제품들의 점유율 가속화를 이끌 계기가 마련되고 있는 만큼, 기회를 살려 퀀텀 점프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