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온 글로벌, 전대차 기반 실물 운영 모델로 한국 공유숙박 시장 본격 진출

사진=트러스온 글로벌(TRUSSEON GLOBAL)

글로벌 숙박 운영 기업 트러스온 글로벌(TRUSSEON GLOBAL)이 2025년 7월 한국 법인 ‘트러스온 글로벌 코리아’를 설립하고 국내 공유숙박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고 1일 밝혔다.

 

업체에 따르면 단순 숙박 중개를 넘어 전대차 기반으로 숙소를 임차하고 운영까지 책임지는 ‘전대차 기반 실물 운영 모델’을 앞세워, 기존 플랫폼 중심의 산업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트러스온은 홍콩 본사를 거점으로 도쿄, 하노이, 방콕 등 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숙소를 실물로 확보하고 현지 법제도에 맞춰 등록, 운영하며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성장해온 기업이다. 

 

이들이 채택한 전대차 기반 모델은 플랫폼이 공간을 단순 연결하는 것이 아닌, 법적 책임 주체로서 직접 임차하고, 통합 시스템을 통해 예약, 청소, 고객 응대, 리뷰 관리까지 전 과정을 직접 운영·관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는 공유숙박 시장의 가장 큰 약점이었던 품질 불균형과 관리 공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플랫폼 운영자는 실시간으로 수익 흐름, 객실 상태, 예약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어, 효율성·투명성·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고 업체 측은 전했다.

 

업체 관계자는 “개인 창업자나 중소규모 숙박 운영자들에게도 진입 문턱이 낮다“며 “초기 비용 부담 없이 실물 기반 인프라를 플랫폼과 공유함으로써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트러스온은 이러한 실물 운영 중심 모델로 2019년 ‘홍콩 트래블테크 어워즈’에서 혁신 솔루션 부문 수상, 2023년 ‘APAC Property Tech Leader’로 선정되는 등 국제무대에서 기술력과 지속 가능성을 입증받았다.

 

한국 시장에서도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국내 숙박업 등록 요건 해석, 행정 절차 지원, 현지화된 시스템 적용 등 실무적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설명회, 온보딩 세션, 법률 자문 등의 체계적인 인프라 지원이 병행되며, 실제 참여자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트러스온 글로벌은 중장기적으로 유럽, 중동, 북미 등 도시형 숙박 수요가 높은 글로벌 주요 거점으로도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도시별 법과 규제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시스템 구조는 장기 거점 확보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글로벌 숙박 운영의 ‘표준화된 운영 체계’를 지향하고 있다.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Statista는 전 세계 공유숙박 시장이 2025년까지 약 1,300억 달러(약 174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가장 가파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트러스온의 한국 진출이 어떤 시너지를 낼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황지혜 기자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