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가전 등 완제품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이 인공지능(AI) 과제 전담 조직을 신설한 것으로 확인됐다. AI 시대 빠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부문 내 유기적 협업으로 실행력을 극대화한다는 취지다.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디지털 트윈 설루션, 피지컬(물리적) AI 등의 개발을 가속하기 위한 취지로 풀이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DX부문은 이날 고난이도 핵심 과제를 집중 추진하는 이노엑스 랩(InnoX Lab)을 신설한다고 공지했다. 이노베이션(Inno)과 트랜스포메이션(X)을 결합한 조직명에는 혁신과 변화를 주도한다는 뜻이 담겼다.
이노엑스 랩은 AI 시대에 유연한 협업과 빠른 실행을 위한 새로운 조직 모델로, 전사 차원의 메가 과제와 각 사업부의 도전적 전략 과제를 전담해 단기간 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실행형 조직으로 알려졌다. 과제별로 필요 역량을 가진 인재를 조직 간 경계를 넘어 유연하게 선발·충원함으로써 과제 중심의 유기적 협업 체계를 기반으로 DX부문 핵심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트윈 솔루션 적용 확산 ▲로지스틱스(물류) AI 적용을 통한 물류운영 모델 혁신 ▲피지컬 AI 기술을 활용한 제조 자동화 추진 ▲휴머노이드 로봇 핵심기술 개발 등 4가지 과제로 이노엑스 랩 운영을 시작한다. 향후에도 전사 차원의 메가 과제는 해당 조직을 통해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노태문 DX부문 직무대행(사장)은 지난 4월 DX부문 수장에 오른 뒤 AI 시장을 주도하는 ‘AI 드리븐 컴퍼니’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노 사장은 임직원을 향한 첫 메시지에서 “기존 업무 방식을 재정비하고 효율적이고 민첩한 조직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며 “원 삼성(One Samsung) 모토 아래 사업부 간 유기적인 협력을 하자. DX부문의 강점을 연결해 더 큰 가치를 만들자”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DX부문은 지난 5월 AI 관련 일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AI 생산성 혁신 그룹을 신설했다. AI 생산성 혁신 그룹은 일종의 컨트롤타워로, 전사 AI 인프라·시스템 구축과 AI 활용 실행 지원, 우수 사례 확산 등 전사 AI 생산성 혁신을 리딩하는 핵심 조직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각 사업부에도 AI 생산성 혁신 사무국을 설치했다.
특히 이번 조직 신설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강조해온 기술 중요성과 무관하지 않다. 이 회장은 그간 “기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 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이라며 기술 경쟁력을 강조해왔다.
이에 이르면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쯤 내놓을 계획이었던 ‘세상에 없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 역시 이노엑스 랩이 힘을 보탤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