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의 생애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자궁은 생리와 임신, 출산, 폐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체 변화의 중심에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 변화, 스트레스, 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자궁 및 난소 질환이 증가 추세다.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인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자궁의 근육층에 생기는 이 혹은 전체 여성의 절반 이상이 한 번쯤 경험할 정도로 흔하다.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근종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생리통, 과다출혈, 빈혈, 복부 불편감, 배뇨 장애, 난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과거에는 자궁근종이 발견되면 자궁 전체를 절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궁을 보존하면서 근종만 제거하거나 크기를 줄이는 다양한 치료법이 도입되며 치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기경도 민트병원 여성의학센터장은 “자궁근종은 삶의 질과 직결되는 질환인 만큼 조기 발견과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다”며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으로 상태를 미리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근종 제거를 위한 치료 방법 중 복강경 및 로봇 수술은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면서도 10cm 내외의 큰 근종까지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회복 속도 또한 빨라 선호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에는 수술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비수술 치료법도 주목받고 있다. 자궁근종으로 가는 혈관을 차단해 괴사시키는 자궁동맥 색전술(UAE), 고강도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해 근종 조직을 파괴하는 MR하이푸(HIFU) 등이 대표적이다.
기 센터장은 “이러한 비수술적 치료는 피부 절개 없이 진행되며, 통증이나 회복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며 “환자의 상태나 근종의 위치에 따라 적합한 치료 옵션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진단이 우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치료 방향은 영상 검사와 함께 다학제 진료를 통해 결정된다. 골반 MRI 및 초음파 검사로 근종의 위치, 개수, 성분, 주변 장기와의 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한 뒤,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인터벤션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협진하여 최적의 치료법을 찾는다.
기 센터장은 “다학제 진료는 단순히 병을 치료하는 것을 넘어, 환자의 직업, 생활환경, 치료 후 삶의 질까지 고려해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라며 “충분한 상담을 통해 환자의 선택권을 존중하는 진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