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업권이 소상공인 등 민생 경제 회복과 저출산 극복을 위해 신용·상해·화재 등 6개의 대표 상생 상품에 대한 보험료를 3년 간 전액 지원한다. 이를 위한 상생기금 300억원도 조성된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보험개발원에서 생명·손해보험협회, 8개 보험사(한화생명·삼성생명·교보생명·미래에셋생명·삼성화재·현대해상·KB손보·NH농협손보)와 함께 보험업권 상생 상품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이같은 방안에 합의했다.
금융위 등에 따르면 보험업권에서는 보험료를 전액 지원하는 상생 상품을 3년간 운영한다. 이를 위해 총 300억원(생보 150억원·손보 150억원) 규모의 상생기금을 조성한다.
이번 사업은 지역 특색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와 함께 추진된다. 지자체 재원이 일부 투입되며, 지자체는 지역 경제상황 및 특성 등을 고려해 상생 상품을 제안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상생기금 지원 비율을 지역별로 차별화해 인구감소지역 등에 대해서는 지원 비율을 상향한다.
상생 상품으로는 소상공인 등 서민 민생 회복과 저출산 극복 등에 효과적으로 지원 가능한 6개 보험(신용·상해·기후·풍수해·화재·다자녀 안심)을 선정했다. 보험업권은 신규상품을 지속 개발해 상생 상품 리스트와 보장대상 등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 초 공모(예정)를 통해 지원대상 지자체를 선정하고 지자체 제안 및 현장 방문 등을 통해 지원 사업을 결정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오는 9월까지 1호 지원 지자체를 선정해 상생 상품 지원·운영을 위한 지자체와 생보·손보협회 간 업무협약과 실무 작업반 구성을 추진한다.
금융위 측은 “보험업권 상생사업을 브랜드화해 후속 상생사업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보험업권 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하며 도움받을 수 있는 다양한 금융 정책들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노성우 기자 sungcow@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