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의 귀국을 위한 전세기가 곧 투입된다.
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1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조지아주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B747-8i 여객기를 띄울 예정이다. 368석 규모인 해당 항공편은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을 한 번에 수송할 수 있는 규모다. 이번 항공편은 한국에서 출발할 때는 승객 없이 이동하는 ‘페리 비행’ 형태로 운영된다. 귀국편은 이날 오후 늦게 애틀랜타에서 출발해 인천으로 향할 전망이다.
석방된 한국 근로자들은 조지아 남부 포크스톤에 위치한 미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서 차량으로 약 4시간 30분(428㎞) 이동해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한 뒤 전세기에 탑승하게 된다. 전세기 왕복 운항 비용은 10억원 안팎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비용은 LG에너지솔루션이 부담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한국 근로자들의 원활한 귀국을 위해 조현 외교부 장관이 경유 항공편을 이용해 이날 워싱턴DC 인근의 덜레스국제공항으로 입국했다. 조 장관은 이르면 10일 워싱턴 DC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구금 한국인들의 석방 및 귀국 협의를 최종 매듭지을 예정이다.
앞서 미국 당국은 지난 5일 조지아주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민 단속 작전을 벌여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해 475명을 체포·구금했다. 이들은 포크스턴 구금시설 및 스튜어트 구금시설에 닷새째 구금된 상태다.
이와 함께 우리 정부도 미국 정부에 강력한 우려를 표명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미국 정부에 외교적으로 가장 강한 톤으로 우려와 유감을 표명했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외교적 수사가 아닌 ‘강력한 항의’를 했다”고 밝혔다.
김용범 실장은 이날 한국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힌 후 “정부는 한 명도 빠짐없이 추방이 아닌 자진 입국으로 귀국할 수 있도록 막바지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정부 역시 한국 측 유감 표명에 공감하고 있으며 구금된 근로자들의 귀국 절차를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다. 또 “애틀랜타 공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갑 착용 등 불필요한 행정 절차가 이뤄지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사태의 근본 원인인 미국 내 비자 제도에 대한 개선 가능성도 언급했다. 김 실장은 “10년 넘게 정부와 기업이 입법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오히려 관련 법안을 발의하는 미국 의원 수는 줄고 있다”며 “그만큼 미국의 반이민 정서가 강화되고 있다는 의미”라고 진단했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도 이번 상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있으며, 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투자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고 해결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