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태양광 확대”… 영풍, '친환경 전환' 피치 올린다

-유니슨㈜와 풍력 업무협약… 태양광발전소 건설 추진도

13일 서울 강남구의 영풍 본사에서 김기호 영풍 대표(오른쪽)와 박원서 유니슨 대표가 풍력 사업 공동 개발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영풍 제공

 

영풍 석포제련소가 풍력과 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본격 확대하며 친환경 제련소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갈수록 비싸지는 산업용 전력료에 대응하는 동시에 복합 신재생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ESG 경영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영풍은 풍력발전 기업 유니슨과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석포제련소가 위치한 경도 봉화군의 산악지대가 풍력발전에 유리한 입지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적 조치. 유니슨의 풍력발전기 설계, 제조 및 운영 역량과 대규모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봉화지역 풍력 발전사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양사는 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을 위한 1단계로 석포제련소 인근 산악지역에 풍황계측기를 올 연말까지 설치한다. 올해 겨울부터 1년간 풍향 및 풍속 데이터를 취득 및 분석하고, 사전 환경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후 단계적으로 4.3MW 풍력발전기 10기를 건설해 총 43MW 규모(연간 예상 발전량 약 8만2000MWh)의 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태양광 발전을 위한 투자도 진행중이다. 석포제련소에 전담 태스크포스팀을 신설하고 공장내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소를 추진한다. 석포제련소 2공장과 3공장 사이의 총면적 14만486㎡(4만2570평) 부지에 발전용량 약 4~5MW 규모(연간 예상 발전량 약 7000MWh)로 건설될 예정이다.

 

영풍 측은 “정부에서 추진 중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체계 대전환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라며 “회사가 환경부 통합환경인허가 취득을 전후해 지속 추진한 환경분야 혁신과제들의 연장선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영풍은 2021년 세계 제련업계 최초로 폐수 무방류(ZLD) 시스템을 구축해 폐수를 전량 재활용하고, 폐수의 외부 유출 필요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했다. 또한 석포제련소 외곽 2.5㎞ 전 구간에 지하수 확산방지시설을 구축하고 하루 평균 450톤의 지하수를 뽑아 올려 정화 처리 후 공정에 재이용하고 있다. 덧붙여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산소공장 및 오존설비 신설 등 최근 수년간 4000억원이 넘는 투자를 단행했다.

 

영풍 관계자는 “단순 신재생에너지 확보 차원을 넘어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의 환경 정책과 발맞춰 환경 친화적인 경영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기 위한 석포제련소의 장기적인 환경 투자 사업의 일환”이라며 “앞으로도 탄소중립 시대에 걸맞은 혁신과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