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은 자궁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여성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대부분 자궁근종은 특별한 증상 없이 발견되거나 경미한 증상만을 동반하지만, 일정 크기 이상으로 자라거나 중요한 부위에 위치할 경우 생리 불순, 과다 출혈, 하복부 통증 등을 일으켜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에서는 근종이 불임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자궁근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호르몬 변화, 유전적 요인, 비만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의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하며, 폐경 후에는 증상이 사라지기도 한다. 자궁근종의 치료 방법은 약물치료와 수술치료로 나눌 수 있다.
해당 질환의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근종의 크기,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약물치료는 호르몬제를 사용해 근종의 크기를 줄이는 방식인데,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며 일부 환자에게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약물로 인한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

주원덕 최상산부인과 원장은 “자궁근종은 전체 여성의 반 이상이 경험할 정도록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라며 “병변의 상태에 따라 추적관찰을 통해 지켜볼 수도 있지만 크기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거나, 크기가 커져 주변 장기들을 압박하는 경우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자궁을 보존하면서 근종만을 제거하는 방법이 대세로 자리 잡았다. 자궁근종 절제술이 대표적인 예로 자리잡았지만 이러한 수술도 절개 부위가 크고 회복 기간이 길어 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어 최근에는 자궁 조직을 보존하는 치료방법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치료 방법이 바로 로봇수술이다. 로봇수술은 기존 수술법과 비교해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우선, 로봇수술은 작은 절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회복 속도가 빠르다.
전통적인 수술에 비해 통증이 적고, 입원 기간도 짧아 환자의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또한, 로봇을 이용한 수술은 수술 부위를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어 근종 제거의 정확도가 높다.
로봇수술은 특히 복잡한 수술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실수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자궁을 보존하면서 근종만을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의사가 직접 손으로 집도하는 복강경 수술 치료에 비해 로봇수술은 활동 범위가 적어 흉터도 최소화된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로봇수술은 자궁근종 치료에 있어서 자궁의 정상조직을 보존하는 최소침습 수술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주원덕 원장은 “로봇수술은 자궁근종의 수술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자궁의 정상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최소침습 치료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며 “로봇팔은 540도 회전이 가능해, 의사가 직접 집도하는 복강경 수술에 비해서 활동범위가 작아 흉터가 적게 남으며, 보다 정교한 수술 진행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비교적 회복이 빠른 편이며, 출혈도 줄어들어 회복 이후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생길 확률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