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국감장 처음 나온 김병주 MBK 회장 “홈플 의사결정 관여안해, 사회적 책임은 다할 것”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뉴시스

 홈플러스의 소유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14일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며 "홈플러스 임직원 및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김 회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 관련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우리(MBK)는 대기업이 아니고 사모펀드 운용사이며 (나는) 대기업 총수가 아니다"라며 “13명의 파트너가 각자 자기 분야를 담당하고 있으며 내 담당은 펀드레이징(fund raising·모금)이다. 자금을 일으키고 자금을 받은 투자처를 관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동북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는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했다. 이후 장기간 경영난을 겪은 홈플러스는 올해 3월 기업회생 절차를 시작했다. 김 회장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국회 증인으로 출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MBK는 홈플러스의 정상화를 위해 이미 3000억원을 증여나 대출 보증 등 방식으로 지원했고, 앞으로 최대 2000억원을 추가 증여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홈플러스에 대한 기존 지원금 3000억원 중 1천억원은 김 회장이 사재로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 자금 2000억원은 MBK의 운영수익(관리보수 및 성공보수)을 활용해 마련할 예정이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책임론과 사재출연 요구가 나오는 것이 억울하냐고 묻는 말에 “제 회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MBK가 홈플러스의 납품 대금에 보증을 왜 서지 않느냐는 의원 질의에는 “내가 관여한 부분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에 대한 MBK 측의 지원을 더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노력은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법인과 개인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그는 자기 재산이 14조원에 달하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해당 액수는 법인의 가치를 매긴 것 같은데 비상장 회사라 유동화할 수 없는 가치다. 주식을 팔아 재산을 만들 수 있는 구조가 아닌 만큼 이해해 달라"고 전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