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KT 대표 “불찰로 국민 불안, 피해 고객만 공지는 불안 최소화 차원”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뉴시스

 김영섭 KT 대표가 14일 열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근 발생한 불법 소액결제 피해 사태와 관련해 다시 한 번 사과했다.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에게만 공지를 보낸 것에 대해선 고객 불안을 최소화기 위함이었다고 해명했다.

 

이날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8월 5일 불법 소형 기지국에서 최초 피해가 발생했지만 경찰이 KT에 피해 사실을 통보한 것은 한 달 뒤인 9월 1일이었다"며 "그동안 피해가 계속됐는데 KT는 이를 부인했고 언론 보도 이후에야 뒤늦게 소액결제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소액결제 및 개인정보 유출 사안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KT의 경영상 도의적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KT가 사전 예방 조치라든지 이런 걸 못 해서 전 국민 불안하게 하고 고객들도 불안케 하고 해서 정말 죄송하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혁신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김 대표는 유심 (해킹 사태) 관련 전체 고객 대상으로 메시지를 보낸 SK텔레콤과 달리 KT는 피해자만 대상으로 공지를 보내 부실 대응을 했다는 김 의원의 지적에 관해 "전체 고객에게 통지할 경우 불필요한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신중히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이에 김 의원은 "핑계에 불과하며 KT의 무책임한 경영과 대응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재차 비판했다.

 

아울러 김 대표는 지난 8월 처음 무단 소액결제가 발생한 이후 9월 경찰에 피해 사실을 통보하면서 입장을 번복했던 점을 사과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