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섭 KT 대표가 14일 열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근 발생한 불법 소액결제 피해 사태와 관련해 다시 한 번 사과했다.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에게만 공지를 보낸 것에 대해선 고객 불안을 최소화기 위함이었다고 해명했다.
이날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8월 5일 불법 소형 기지국에서 최초 피해가 발생했지만 경찰이 KT에 피해 사실을 통보한 것은 한 달 뒤인 9월 1일이었다"며 "그동안 피해가 계속됐는데 KT는 이를 부인했고 언론 보도 이후에야 뒤늦게 소액결제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소액결제 및 개인정보 유출 사안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KT의 경영상 도의적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KT가 사전 예방 조치라든지 이런 걸 못 해서 전 국민 불안하게 하고 고객들도 불안케 하고 해서 정말 죄송하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혁신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김 대표는 유심 (해킹 사태) 관련 전체 고객 대상으로 메시지를 보낸 SK텔레콤과 달리 KT는 피해자만 대상으로 공지를 보내 부실 대응을 했다는 김 의원의 지적에 관해 "전체 고객에게 통지할 경우 불필요한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신중히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이에 김 의원은 "핑계에 불과하며 KT의 무책임한 경영과 대응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재차 비판했다.
아울러 김 대표는 지난 8월 처음 무단 소액결제가 발생한 이후 9월 경찰에 피해 사실을 통보하면서 입장을 번복했던 점을 사과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