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캄보디아 구금 63명 한 달 내 전원 송환 추진”... 국수본부장 15일 현지로 출국

시민단체 활빈단의 홍정식(왼쪽 세 번째) 대표 등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주한 캄보디아대사관 앞에서 캄보디아 현지 범죄조직의 고문으로 한국인 대학생이 숨진 사건과 관련해 해당 조직의 소탕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뉴시스

경찰이 캄보디아에 구금된 국민 전원의 한 달 내 송환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이 직접 캄보디아 현지를 찾아 송환 절차와 현지 수사 협력 강화를 논의한다. 현지에 상주하는 경찰도 2명 증원한다.

 

경찰청은 14일 "캄보디아 범죄조직으로부터 위협받는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총력 대응하겠다"며 이 같은 방안을 공개했다.

 

먼저 경찰은 현지에 구금된 국민 63명을 한 달 안에 전원 국내로 데려올 계획이다. 이 중에서도 인터폴 적색수배자부터 송환을 시도한다.

 

캄보디아 대사관에 경찰 협력관 2명도 추가 파견한다. 현재의 주재관 1명·협력관 2명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서다.

 

캄보디아 내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위한 한국-캄보디아 경찰청 차장 양자회담도 기존 23일에서 20일로 3일 당겨 개최한다. 경찰은 “한국인 대상 범죄가 크게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해 회담을 3일 앞당겼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인천국제공항에는 출국장 게이트까지 경찰관을 전진 배치하기로 했다. 항공기 탑승 트랩 바로 앞까지 배치해 출국 직전까지 총력 단속하는 것이다. 취업 미끼로 출국하는 취업준비생, 피싱 범죄에 연루된 청년 등에게 캄보디아의 범죄 실태를 안내하고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해서다.

 

국가수사본부 내에는 수사기획조정관을 단장으로 하는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종합대응단'을 운영한다. 대응단은 전국의 범죄첩보팀을 활용해 캄보디아 납치·유인 등 첩보를 최우선 수집하고, 현지로의 출국을 유도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모니터링하는 한편 국내 조폭 연루 여부도 살핀다.

 

캄보디아에서 발생하는 한국인 대상 범죄에 대한 전수조사에도 착수한다. 외교부에만 신고하고 경찰에는 접수되지 않은 사건이 8월 말 기준 255건에 달하는데, 이를 모두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경찰 접수사건과 외교부 신고사건을 일 단위로 교차분석해 위험에 처한 국민이 보호망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캄보디아 내 자국민의 안전 확보가 최우선이며, 앞으로 범죄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는 것 또한 중요한 경찰의 역할"이라며 "가용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자국민을 범죄로부터 보호하겠다"고 전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