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내년 수익성 저하 우려…보험산업 성장 전략 수립해야”

보험연구원 제공

내년부터 보험산업의 수익성이 본격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적극적 부채관리, 자산운용 고도화, 비용 효율화와 함께 신정부 정책에 기반한 성장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보험업계 제언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21일 ‘2026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내년 보험산업 전체 보험료 성장률은 2.3%로, 올해(7.4% 예상)에 비해 5.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체 보험료 규모는 약 265조원으로, 생명보험 수입보험료는 1.0%, 손해보험 원수보험료는 3.5% 수준의 증가에 머물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보험계약마진(CSM)은 올해보다 증가율이 둔화될 전망이다.

 

생명보험의 CSM 규모는 내년 64조3000억원으로 올해보다 0.6% 줄어드는 반면, 손해보험은 71조8000억원으로 2.1%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원은 K-ICS 비율이 내년에는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하락, 해지율 및 손해율 상승 등 비우호적인 환경이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저성장과 저금리,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등은 보험산업의 건전성과 수익성 저하를 본격화 시킬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보험회사의 위험보장 역량과 미래대응 여력을 약화시켜 성장성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높다.

 

노건엽 금융제도연구실장은 “내년도 보험산업은 적극적 부채관리, 자산운용 고도화, 비용 효율화와 함께 신정부 정책에 기반해 성장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노성우 기자 sungcow@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