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마을금고에서 임직원의 횡령·배임 등의 금융사고가 해마다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8년 동안 누적 사고액이 700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절반 이상은 고객의 예금이나 현금 등을 빼돌린 횡령이었다.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일 행정안전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국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규모는 총 714억8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아직 회수하지 못한 돈은 177억6700만원으로, 전체의 약 25%다.
연도별로는 2017년 146억 8800만원 이후 등락을 거치다 2020년에 171억 9600만원으로 정점을 찍었다. 올해는 8월까지 집계액만 36억 5600만원으로, 이미 지난해 한 해 사고액(29억 7600만원)을 넘어섰다.
특히 지난 8년간 발생한 사고 유형으로는 횡령이 429억원(8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 중 예금·대출금·예탁금·현금시재 등 고객 돈에 손댄 금액만 417억원에 달했다. 횡령에 가담한 임직원은 총 97명으로 부장이 18명으로 가장 많았고, 주임(14명), 전무(11명), 이사장, 과장, 대리가 각각 10명, 차장 7명 등 다양한 직급이 있었다.
무담보, 허위대출 등 불법대출로 인한 배임·사기 사건도 13건, 금액으로는 170억원에 달했다. 이 중 52억 2700만원은 아직 회수되지 않았다.
올해 경북의 한 지점에서는 이사장부터 계장까지 총 6명이 짜고 19억원의 무담보 대출을 실행한 사례도 있었다.
새마을금고의 건전성 문제가 꾸준히 지적되는 가운데, 내부통제 미비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행안부와 금융당국은 올해 4월부터 새마을금고에 대한 정부 합동감사를 진행 중이다.
허 의원은 “새마을금고가 광고와 캠페인으로 신뢰를 내세우지만, 정작 내부통제와 사고 예방 수준은 여전히 미흡하다”며 “동일 업무-동일 규제 원칙하에 감독체계를 금융당국으로 일원화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법”이라고 말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