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대책 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꺾였다

최근 서울 노원구 상계주동 아파트 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뉴시스

 

10·15 부동산 대책 시행(서울 전역·경기 12개 지역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두 달여 만에 꺾였다.

 

2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27일 기준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103.2로 전주(105.4) 대비 2.2포인트 하락해 8월 18일(99.1) 이후 처음으로 하락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수요·공급 우위를 가늠하는 지표다. 6·27 대출규제 이후 약세였던 서울 지수는 9~10월 반등했지만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10월 16일)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10월 20일)이 동시에 반영된 10월 27일 발표에서 9주 만에 내려앉았다.

 

10·15 대책으로 무주택자·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LTV 한도는 70%에서 40%로 축소되고 15억원 초과 주택의 주담대 한도는 2억~4억으로 낮아졌다. 허가구역 내 2년 실거주 의무로 갭투자도 사실상 차단됐다.

 

하락 폭은 강북권이 더 컸다. 강북권 매매수급지수는 101.6으로 전주(104.8) 대비 3.2포인트 하락했고, 강남권은 104.7로 전주(106.0) 대비 1.3포인트 낮아졌다. 도심권(종로·중구·용산)은 115.0에서 109.3으로 5.7포인트, 서북권은 107.7에서 104.9로 2.8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성동·광진 등 과열 지역과 노원·도봉·강북 등 약세 지역을 아우르는 동북권은 101.8에서 99.0으로 내려 100선 아래로 전환됐다. 시장에서는 강북권이 실수요 비중과 대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규제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보고 있다.

 

매수 심리 위축과 함께 매물도 줄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0월 15일 7만4044건에서 6만3178건으로 감소했다(약 -13.9%). 업계는 고강도 대출규제와 허가제 병행으로 단기 매수심리 둔화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현금 비중이 높은 강남권의 낙폭은 제한적이고 강북권은 추가 조정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