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4100선을 재돌파한 가운데 삼성·SK 등 5대 그룹이 국내 증시 시가총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대형주 중심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에 소속된 상장사 368곳의 시가총액은 올해 1월 2일 1661조7387억원에서 이달 3일 3030조5177억원으로 무려 82.4%(약 1369조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증시(코스피·코스닥·코넥스 포함) 시가총액은 2310조9938억원에서 3963조1134억원으로 71.5% 늘어났으며, 이 중 5대 그룹(삼성·SK·현대차·LG·HD현대)의 비중은 45.9%에서 52.2%로 6.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대형주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을 타고 급등하면서 삼성·SK그룹의 시가총액은 전체 시장의 약 40%를 차지하게 됐다.
삼성그룹은 17개 상장사의 시총이 503조7408억원에서 943조4862억원으로 87.3% 늘었고, 전체 시장 내 비중도 21.8%에서 23.8%로 상승했다. SK그룹의 경우 21개 상장사 시총이 200조3384억원에서 572조3577억원으로 185.7% 폭증하면서, 시장 내 비중도 8.7%에서 14.4%로 뛰었다.
그 외 대기업집단 시총 순위도 산업별 경기 상황을 반영하며 크게 출렁였다. 상위 5대 그룹 중에선 LG(3→4위)와 현대차(4→3위)의 순위가 뒤바뀌었고, 10위권 내에서는 두산그룹이 새롭게 진입했다.
두산의 7개 상장 계열사 시총은 26조1936억원에서 90조94억원으로 243.6% 증가하며 그룹 순위가 12위에서 7위로 뛰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지주사 두산의 급등세 영향으로 풀이된다.
10위권 밖에서 가장 순위가 크게 오른 그룹은 효성이다. 효성그룹 11개 상장 계열사 시총은 7조2596억원에서 27조2498억원으로 275.4% 늘어 29위에서 15위로 상승했다.
반면 HL그룹은 시총 2조3989억원에서 2조2420억원으로 6.5% 감소하며 46위에서 56위로 내려갔다. 크래프톤은 15조1625억원에서 13조2466억원으로 줄었고, 태영그룹은 1조2530억원에서 1조원대가 무너지며 9494억원으로 감소했다.
이는 산업 간 경기 흐름이 엇갈리면서 그룹별 시가총액 순위가 급변해 반도체·조선·방산·원자력·전력 계열사를 보유한 그룹들이 상위권으로 부상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이날 코스피는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해제 기대감에 힘입어 4100선을 탈환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51.06포인트(1.25%) 오른 4124.30에 개장해 장 초반 2% 넘게 오른 4180선까지 올랐다. 코스피가 4100선을 상회한 건 종가 기준 지난 4일 이후 5거래일 만이다. 다만 오후 들어 상승 폭이 줄어들어 최종 33.15포인트(0.81%) 오른 4106.39에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나란히 2% 넘게 급등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장 초반 5% 이상 올라 64만원을 터치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 밖에 기아 2.02%, SK스퀘어 7.41% 등도 크게 올랐다.
현정민 기자 mine0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