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갈등에 허물어지는 ‘아시아’ 금융허브 홍콩

홍콩보안법 통과 이후 미중 갈등 격화로 홍콩의 위상이 크게 흔들릴 전망이다. 사진=홍콩정부신문망

[세계비즈=임정빈 선임기자]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통과 이후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홍콩이 아시아 금융허브로서 위상이 크게 흔들리는 등 위기에 처하게 됐다.

 

2일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달 30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회의를 통해 홍콩보안법(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국가안보수호법)을 통과시키면서 국제적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미국은 이에 대해 중국이 ‘일국양제’(한 나라 두 체제) 원칙을 포기했다고 비판, 홍콩에 대해 중국 본토와 다른 특별지위를 보장했던 홍콩정책법 폐기를 공식화하고 있다.

 

미국 입장에서 보자면 홍콩이 중국으로 편입된 만큼 홍콩을 통해 미국의 주요 기술이 빠져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 G1 자리를 놓고 중국과 첨예한 대결구도를 가져가는 마당에 홍콩을 기반으로 한 국제자본 유출입도 당연히 규제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홍콩의 미래가 상당히 불투명해지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홍콩보안법으로 인해 금융시장 등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본토에서 유입되는 자금과 정책조치 등으로 증시나 외환시장이 쉽게 안정을 찾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측면에서 홍콩의 자산가치는 지속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클 전망이다.

 

홍콩증시가 중국증시와 같은 조건 하에 있다면 굳이 홍콩증시에 투자할 이유가 없어지게 되고, 해외로부터 투자가 상당히 줄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보자면 홍콩에 상장된 중국은행에 대한 미국 등 서방국가들의 규제로 인해 달러화 부족현상을 빚게 될 수도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런 상황이 지속적으로 벌어지게 되면 홍콩의 자산 자체에 대한 리스크 프리미엄이 계속 높아질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또 홍콩을 기반으로 데이터센터나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해외기업의 수요도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중국정부의 홍콩보안법으로 인해 자유로운 정보소통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더 좋지 않은 점은 미국과 영국 서방국가들이 홍콩을 본보기삼아 단계적으로 규제를 심화할 가능성이 매우 커지고 있는 점이다.

 

명실공히 아시아 금융허브였던 홍콩의 위상이 이렇게 무너질 공산이 커진 만큼 홍콩 대체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중국은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지만 하이난섬을 홍콩을 대체해 키울 자유무역지대로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중국공산당과 국무원은 공동으로 ‘하이난 자유무역항 건설 총체 방안’ 문건을 통해 2025년까지 무역 자유화와 투자 자유화를 양대 축으로 한 자유무역항 체계를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면세 등 여러가지 이점이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국제자본이 투자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확보하고 정치적 중립성까지 갖춘 싱가포르가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일본도 집권 자민당 차원에서 홍콩을 대신해 아시아 금융허브 자리에 올라서겠다는 전략을 적극 펴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와 로이터는 전하고 있다.

 

jbl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