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뚤빼뚤한 우리 아이 치아… 치과검진·교정 시기는?

[정희원 기자] 서울 송파구에 거주하는 주부 A씨는 자녀의 치아교정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 아이의 빼뚤빼뚤한 치아교정을 언제 시작해야 할지, 혹시 잘못된 결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으로 인하여 교정치료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녀 치아교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적절한 교정시기에 대한 고민으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특히 한 살이라도 어릴 때 시작하는 게 좋다는 정보가 있는 반면, 성인이 되면 치열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정보도 있어 혼란이 가중되기도 한다. 

치아교정은 정확하게 몇 살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개인마다 다른 구강 구조와 현재의 치아 상태, 교정의 목적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교정이 필요한 경우는 다양하다. 유치가 빠져야 할 시기에 빠지지 않은 경우, 위 아래 치열이 맞지 않은 경우, 무 턱, 주걱턱의 정도가 심한 경우, 치열 사이의 틈새가 넓은 경우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적절한 소아 교정 시기를 확인하고 싶다면 앞니 영구치가 나오는 만 6,7세 무렵에 치과에 내원, 검진 및 상담을 받는 게 추천된다.  

 

부정 교합은 유치가 영구치로 교체되는 시기(1차 치료)와 영구치가 맹출하는 시기(2차 치료)로 나눠 치료를 진행해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무 턱, 주걱턱과 같이 위 아래 턱의 골격 문제나 선천적으로 치아의 개수가 많거나 모자라는 경우에는 1차 치료가 적절하다.  

 

다만 동일한 연령이라 해도 성장 속도가 다르고, 전체적인 얼굴 골격과 치아 상태에 따라 교정 여부 및 치료 시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교정과 전문의를 통한 정확한 진단 하에 치료를 시행하는 게 바람직하다. 

 

탁선근 탁스치과 원장은 “치아 교정은 평균 12개월 이상의 치료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치과 선택이 중요하다"며 "의료진이 자주 바뀌거나 이벤트나 할인에 치중하는 치과는 가급적 피하는 게 좋으며, 아울러 교정 치료의 경우 장치를 떼어 냈다고 끝난 것이 아니라 이후 관리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관리를 꾸준히 진행하는지 여부도 알아보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