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비즈=박보라 기자] 많은 사람들이 척추 디스크라 말하는 질환의 정확한 명칭은 ‘요추추간판탈출증’이다. 추간판은 척추 뼈와 척추 뼈 사이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구조물로서 흔히 디스크를 뜻한다.
허리 디스크란 추간판이 탈출된 것으로, 디스크에 지속적인 힘이 가해지게 되면 디스크를 감싸고 있던 섬유막이 터져 본래의 위치를 벗어나게 된다. 디스크가 돌출되면 신경을 눌러 요통과 함께 다리가 아프고 저린 증상을 일으키는데 이를 추간판 탈출증 또는 허리 디스크라 하는 것이다.
허리 디스크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무거운 물건을 옮기는 작업을 많이 하는 경우 △허리에 무리가 많이 가는 자세를 자주 취할 경우 △비만 혹은 과체중 △퇴행성 변화 등이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로 인해 집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잘못된 자세로 허리 디스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증상은 심한 허리 통증과 하지 저림 증상이다. 허리를 구부리는 동작을 할 경우 통증이 악화되며, 신경 압박정도가 심할 경우 하지마비 및 배뇨장애의 위험이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허리 디스크와 비슷한 대표적인 척추질환에는 ‘척추관 협착증’이 있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관 내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뼈나 인대성분의 섬유조직의 비대에 의해 공간이 좁아짐으로써 신경이 압박되어 나타나게 되는 질환이다. 디스크와 다른 증상은 눕거나 쉬면 통증이 없다가 걷게 되면 엉덩이와 다리가 당기고 저리는 통증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또한 통증으로 인해 바로 눕지 못하고 웅크리게 된다.
이는 조기에 발견하면 약물 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신경근차단술, 경막외신경차단술 등 비수술 치료로도 충분히 호전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허리디스크 비수술 치료로 알려진 신경근 차단술은 방사선 영상장치를 보면서 주사를 사용해 경막에 약물을 투여해 신경 주위에 염증을 제거하고 통증을 가라앉히게 해 자율신경계에 정상적인 반응을 유도시키는 방법이다.
환자를 엎드리게 해서 통증 위치에 약물을 투여하고 시술 후 30분 정도는 안정을 취하도록 하는데, 허리통증 환자들에게 많이 시행되며 척추관협착증이나 추간판탈출증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남시 서울달리자정형외과 조규범 대표원장은 “잘못된 자세, 외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허리 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증상이 느껴진다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정형외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수술이 아닌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도 충분히 회복이 가능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