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에 관절의 움직임이 둔해지고, 근육의 유연성도 떨어지면서 부상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고령층이나 50대 이상 중장년층 여성의 경우 낙상에 의한 부상 위험이 커져 주의해야 한다.
골다공증이란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될 가능성이 큰 상태를 말한다. 주로 호르몬 변화가 생기는 50대 이후 많이 발생한다. 특히 지난해 골다공증으로 병원을 찾은 105만여 명 중 약 99만여 명이 여성일 정도로 여성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다.

골다공증 환자들에게 가장 위험한 것은 뼈가 부러지는 골절이다. 손목, 팔, 허벅지, 고관절, 척추 등 다양한 부위에서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골절 후 회복 속도가 느릴뿐 아니라 고령층에서 고관절이 골절될 경우 영구적인 장애가 남을 수 있다.
문제는 골절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골다공증 발견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를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 중 갑작스럽게 골절이 나타날 수 있어 정형외과 등 관련 병원을 통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관리하는 게 좋다. 골밀도 검사를 통해 골다공증 진단을 받았다면 꾸준한 약물치료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
골다공증 검사는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65세 이상 여성과 70세 이상 남성의 경우 가능하다. 여성은 65세 미만이더라도 폐경 후 저체중, 비 외상성 골절 이력, 가족력, 40세 이전 자연 폐경 등이 있는 경우라면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다.
장형규 대구 서재동산연합정형외과 원장은 “심한 골다공증의 경우 회복되더라도 보행 장애 등 후유증을 남겨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조기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며 “무엇보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병원을 찾아 검사받는 게 가장 중요하며 평소 30분 걷기, 계단 오르기 등 근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