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대표적인 어깨 질환으로 오십견, 어깨충돌증후군, 회전근개파열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가운데 특히 회전근개파열은 최근 스포츠 운동을 즐기는 젊은 세대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꼽힌다.
회전근개란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뼈들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 4개의 근육을 지칭한다. 해당 부위는 근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건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 힘줄 근육은 어깨가 부드럽게 움직이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만일 어깨를 과다하게 사용하여 어깨 관절에 무리를 주거나 외부적 충격으로 인한 외상이 질환의 시작이 될 수 있다. 힘줄 근육에 하나 이상이라도 파열 또는 손상을 입게 되면 통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회전근개파열이라 한다.

회전근개파열이 나타나면 어깨힘줄근육 부분이 약화되며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 가령 팔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게 어려워진다. 초기에는 움직일 때에만 통증이 미비하게 느껴지는 정도이나 점차 염증이 발생하면서 혼자서 팔을 머리 위로 올리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워질 정도로 제한된다.
일반적으로는 목 부분부터 시작해 어깨관절까지 통증이 이어지고 팔 쪽으로 저림 현상이 함께 나타나게 된다. 만일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다면 야간통으로 인해 밤에 제대로 잠을 이룰 수 없어서 결국 수면장애를 초래하는 등 부차적인 질환 및 증세에 시달리게 된다.
대개 퇴행성 질환으로서 나이가 들어가면서 어깨가 경직되고, 근육과 힘줄이 변형되면서 제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발생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젊은층에서도 이를 겪는 사람이 늘어나 유의해야 한다. 대개 교통사고나 운동부상으로 인한 외부적 충격에 의해 외상을 입는 경우와 혈액순환 장애, 선천적인 신체 요인 등을 꼽을 수 있다.
척편한병원 김경운 병원장은 “회전근개파열을 조기에 발견할 경우라면 약물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법을 통해 증상 개선을 도울 수 있다”며 “하지만 충분한 시간을 두고 경과를 지켜보아도 호전되는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봉합술을 고려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절내시경은 병변 부위를 최소 절개한 뒤 내시경과 특수기구를 삽입해 내부 문제를 파악해 손상부위를 치료하는 것”이라며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병변 부위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세한 부위까지 치료가 가능하고 절개 부위가 작으므로 출혈현상이나 후유증 발생 위험이 낮은 게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그에 따르면 회전근개파열은 초기에는 미세한 통증 정도로 발생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삼지 않고 방치하기 쉬운 질환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증세가 심화되고, 치료가 지체되면 팔에 힘이 빠지고 일상생활에 각종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경각심을 갖고 주의할 필요성이 있다.
김경운 병원장은 “평소 회전근개파열을 예방하려면 스트레칭을 통해 경직된 근육이나 인대를 풀어주는 게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