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최근 스마트폰 기기 보급률이 높아지고 사용 연령대 역시 낮아지면서 소아 및 청소년 근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으로 가까운 곳만 주시하면 근시 발생의 위험이 커지는 측면이 있다.
근시는 가까운 물체는 잘 보이지만 멀리 있는 물체는 잘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성장기에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근시가 발생할 경우 시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뿐 아니라 성인이 된 후에는 고도 근시로 이어져 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적절한 치료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성장기 어린이들의 근시 진행 속도를 억제해주는 시력 교정 방법으로 드림 렌즈를 들 수 있다.
드림 렌즈는 특수 제작된 하드 렌즈가 각막 중심부를 편평하게 눌러 상피세포의 재배치를 유도한다. 이를 통해 각막의 굴절력을 감소시켜 근시를 교정할 수 있는 원리를 쓴다.

드림 렌즈는 잘 때 8시간 정도만 착용해주면 낮 동안에는 교정된 시력으로 생활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이들의 야외 활동이 제한이 적을 뿐만 아니라 안경 착용의 불편함을 감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미용상의 측면에서도 선호도가 높다.
드림 렌즈는 잘 때 8시간 정도만 착용해주면 낮 동안에는 교정된 시력으로 생활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의 야외 활동이 제한이 적을 뿐만 아니라 안경 착용의 불편함을 감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미용상 측면에서도 선호도가 높다.
드림렌즈를 한 번 착용하면 관리 여부에 따라 최소 2년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일반 렌즈와 다른 특수렌즈인 만큼 착용 결정에 앞서 안과병원을 찾아 정밀 검진을 받아야 한다. 이를 토대로 테스트 렌즈를 착용하고 경과를 지켜본 후에 아이 눈 상태에 따른 적합한 렌즈를 고르는 게 중요하다.
김정철 혜민안과병원 과장은 “드림 렌즈는 정밀하고 체계화된 진단 및 시험렌즈 착용 과정을 거친 후 개개인에 적합한 것을 사용해야만 안정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다만 어린이의 경우 청결 및 보관에 소홀히 할 수밖에 없어 보호자가 렌즈 관리를 함께 해주는 게 좋다. 렌즈를 착용 전후에는 표면이 망가지거나 상처가 나지 않도록 전용 세척액 및 보존액을 사용해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hap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