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맹장염이라 불리는 급성 충수염은 소장에서 대장으로 이어지는 맹장이라는 부위의 끝 부분에 위치한 충수에 염증이 생긴 상태다.
충수는 약 6~9cm 크기의 구불구불한 조직으로, 여러 원인에 의해 충수 내부가 막히면 정상적인 장의 연동운동이 제한되고 충수 내부 점막이 장내 세균이 분비하는 물질에 의해 손상되면서 궤양, 괴사, 천공 등으로 진행된다.
충수가 막히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충수 주변 임파 조직의 과다 증식이다. 다음으로는 단단한 대변이 유입되어 입구를 막는 경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기생충이나 종양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 등이 있다.
급성 충수염은 해마다 10만명의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어린 아이부터 성인까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병이기 때문에 의심 증상이 나타났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아직 충수가 터지기 전이라면 간단한 맹장수술을 통해 충수를 제거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지만 만일 충수가 터지면 복막염이나 패혈증 등으로 진행되어 치료가 어려워지고 심지어 환자가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통상 급성 충수염이 생기면 식욕이 저하되며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나 복통 등의 증상이 생긴다. 처음에는 상복부를 비롯해 복부에 통증이 생기기 때문에 단순히 체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시간이 지나면 점점 충수가 위치한 오른쪽 아랫배 부분에 통증이 심해진다.
이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고 특히 손으로 배를 눌렀다가 떼었을 때 통증이 심하다면 충수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열, 한기 등을 느낄 수 있으며 충수가 천공되면 복부 전체에 통증이 번지고 고열이 오르기도 한다.
전형적인 충수염 증상이 나타난다면 진단이 그리 어렵지 않은 질환이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비전형적인 증상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나 복부 초음파, CT 등의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수원백성병원 이용선 진료과장은 “복통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인 정밀 검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복통은 워낙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원인부터 정확하게 파악해야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충수염은 치료 시기가 늦어질수록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환자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 하고 적기에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연중무휴 야간진료 및 수술을 시행한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진행되는 맹장수술은 대부분 복강경을 이용해 진행한다. 개복수술과 달리 절개창의 크기가 작아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통증, 출혈도 적어 환자의 부담이 적다. 다만 수술 후 주의사항을 잘 지키지 않으면 수술 부위에 감염 등이 발생하게 될 수 있으므로 충분히 회복되기 전까지는 무리한 움직임 등을 삼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