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 2026 예산] “국가 성장동력은 AI”… 10조원 투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년 예산안 및 25~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주요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서 인공지능(AI)을 국가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대규모 투자를 예고했다.

 

이재명 정부 첫 본예산에서 AI 관련 예산은 10조1000억원. 이는 지난해 3조3000억원의 세 배를 넘는 수준으로 확대됐다.

 

특히 핵심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AI 대전환’에 속도를 낸다. 로봇, 자동차, 조선, 가전·반도체 등 주요 산업 분야에 향후 5년간 6조원을 투입하고, 내년에는 우선 5000억원이 배정된다. AI 로봇에는 5510억원, 자율주행차 실증밸리에는 6000억원, 자율운항 선박 기술에는 6135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가전·홈 시장 선점을 위한 온디바이스 AI 반도체에는 9973억원, 자율 제조 기술에는 2조원이 책정됐다.

 

지역 거점 기반 육성도 본격화된다. 광주 에너지 모빌리티, 대구 로봇·바이오, 경남 기계·부품 가공, 대전 버티컬 AI, 전북 AI 팩토리 테스트 베드, 부울경 해양·항만 등이 특화산업과 연계한 피지컬 AI 거점으로 지정돼 지원을 받는다.

 

생활밀접형 산업 적용도 확대된다. 신규 ‘AX-스프린트 300’ 사업을 통해 300개 제품에 AI를 적용, 9000억원을 투입한다. 자동 음향 조절 마이크, 피부분석 추천 거울, 신생아 울음소리 분석 기기 등 일상 속 제품을 직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공공 부문 역시 복지·고용, 납세, 신약 심사 등 3대 분야를 우선 전환 대상으로 선정했다. 국민 안전·재난 대응을 위한 AI 화재 탐지, 과학적 순찰 강화 사업에도 별도 예산이 투입된다.

 

GPU 확보와 인재 양성은 AI 전략의 또 다른 축이다. 내년 GPU 관련 예산은 올해 2조7000억원에서 7조5000억원으로 확대된다. 정부는 GPU 5만장 확보 목표 중 정부 구매분(3만5000장)을 조기 달성하고, 민간기업 20곳에 통합 바우처를 제공한다.

 

AI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원은 19개에서 24개로, 생성형 AI 연구과제는 5개에서 13개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1만2000명의 인재를 배출한다는 구상이다. 청년 직업훈련 과정도 AI 중심으로 개편된다.

 

아울러 ▲민간 연구기업(SPC) 출자(200억원) ▲피지컬 AI 선도기술 개발(150억원) ▲빅테크·AI 펀드(3000억원) 조성 등 창업 및 산업 생태계 지원책도 병행한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