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하는 혼인∙출산율 지속 방안] 늦어도 포기란 없다…지원과 노력으로 맺은 결실

- 출생아 수 12개월 연속 상승, 혼인건수도 15개월째 늘어

- 40대 출산 부부 “지원금 도움, 모든 비용 감당했다면 포기”

한 웨딩박람회를 찾은 예비 부부들이 웨딩드레스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힘들었지만, 결국 아기를 품에 안고 보니 모든 게 보람으로 남습니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A 씨(42)는 지난 1년을 돌아보며 이렇게 말했다. 지난해 5월 결혼을 결심한 그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미래를 준비하며 설렘과 기대감으로 하루하루를 보냈다. 40대 초반의 결혼은 출산과 육아까지 함께 고민해야 했지만 그 과정에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을 확인하며 조금씩 희망을 키워갔다. 

 

우선 예식 준비부터 쉽지 않았다. 인기 있는 주말 오후 예식장은 350만 원, 웨딩 촬영과 드레스, 메이크업 패키지는 400만원을 넘었다. 여기에 예단과 예물, 혼수까지 준비하다 보니 총 4000만원에 달했다. 하지만 부모와 친지들의 도움, 그리고 정부의 신혼부부 대출 같은 제도를 활용해 자금을 계획적으로 마련할 수 있었다. A씨는 “부담은 컸지만 두 사람이 함께 계획을 세우고 지원 제도를 알아가다 보니 하나씩 해결할 수 있었다”며 웃었다.

 

A 씨는 결혼 직후 자연임신을 시도했지만 쉽지 않았다. 부부는 난임 전문 병원을 찾았고 두 차례 인공수정 후 시험관 시술을 시작했다. 시술 1회 비용은 350만원가량으로 총 세 차례 진행하면서 부담이 컸다. 하지만 정부의 난임 치료 지원 제도 덕분에 약 300만원정도의 비용을 지원받았다. 전체 비용에 비하면 큰 금액은 아니었지만 절차와 심리적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 A 씨는 “지원금 덕분에 마지막까지 시도할 수 있는 용기를 얻었다”며 “정부가 함께해준다는 느낌이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결국 세 번째 시술에서 기적 같은 소식이 찾아왔다. 아내의 임신 확정 소식은 두 사람에게 그간의 어려움을 모두 잊게 해줬다.

 

임신 후 가장 큰 과제는 출산과 산후 회복이었다. 출산 비용은 자연분만 기준 150만원 수준이었고 산후조리원 2주 이용료는 540만원이었다. 서울에서 출산과 조리 비용은 적지 않았지만 정부가 제공하는 산후조리원 바우처 200만원이 큰 도움이 됐다. 신생아 초기 검진과 예방접종도 지원 대상에 포함돼 있어 실질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제때 받을 수 있었다.

 

아이가 태어나자 초기 육아용품 준비가 필요했다. 유모차, 카시트, 아기 침대 등 주요 용품에 300만원 넘게 들었지만 정부의 출산지원금 200만원과 지자체의 추가 지원으로 초기 비용을 어느 정도 충당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와 중고 거래를 통해 합리적으로 준비해 나가며 불필요한 지출을 줄였다. A씨는 지원금 덕분에 꼭 필요한 제품을 부담을 덜고 마련할 수 있었다.

 

A 씨 부부가 결혼과 출산까지 1년간 지출한 총 비용은 약 6400만원이다. 이 중 정부와 지자체가 제공한 지원금은 700만원가량으로 단순한 금액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A씨는 “모든 비용을 스스로 감당했다면 중간에 포기했을 수도 있다”며 “정부가 옆에서 함께 돕고 있다는 생각이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늦은 결혼으로 시작된 A씨 부부의 여정은 쉽지 않았지만 그 과정에서 지원 제도와 주변의 도움은 큰 버팀목이 됐다.

 

줄곧 감소해오던 혼인 건수와 출생 건수가 지난해에는 30여 년 만에 처음으로 10개월 이상 나란히 증가했다.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6월 혼인 건수는 1만8487건으로 전년 대비 9.1% 늘었고 2분기 누적은 6만 건에 육박했다. 출생아 수 증가세도 12개월째 지속돼 올해 상반기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7.4% 증가한 12만6000명으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6월 말 기준으로도 9.4% 증가해 1981년 통계 작성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는 30대 결혼적령기 인구가 확 늘어나고 코로나 시국에 미뤄뒀던 결혼이 이어지면서 나타난 현상이기도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결혼 및 출산 지원대책 덕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맞춤형 대책 마련과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재명 정부 역시 이에 초점을 맞춰 적극적인 정책 시행에 나서고 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