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ESS 안전 논란으로 번져…재생에너지 정책에 변수

화재가 발생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지난 27일 소방대원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소화수조로 옮기고 있다. 총리실sns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안전성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28일 정부 등에 따르면 지난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는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했다. 불은 22시간이 지나서야 완전히 꺼졌다.

 

소방당국은 화재 원인을 무정전 전원장치에 사용된 리튬이온 배터리로 보고 있다. 소방당국은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를 정확하게 진화할 수 있는 방법은 다량의 물을 뿌리거나 수조에 담가 냉각시키는 것뿐”이라며 진화가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초대용량 배터리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도 대폭 늘릴 계획이다. 

 

날씨에 따라 전력생산량이 들쑥날쑥한 간헐성이라는 재생에너지 단점을 극복할 수단이기 때문이다. 현재 ESS에는 대체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된다.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서 2038년까지 약 23GW(기가와트) 규모 장주기 ESS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2029년까지 2.22GW 규모 ESS를 설치할 계획이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설치 목표를 올려잡을 방침으로, 앞으로 ESS 설치 속도도 빨라질 전망이다.

 

정부는 이미 국회에 올해 하반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와 제6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목표치를 높이겠다고 보고했다.

 

그런데 최근 환경부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수립을 위한 토론회에서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100GW는 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2035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최소 130GW에서 최대 160GW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 간헐성을 보완할 방안으로 ‘ESS 등 유연성 자원 확대’를 제시했다.

 

문제는 이번 국정자원 화재로 ESS 주민 수용성이 크게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은 설비 설치·운영 과정에서 빛 반사, 저주파 소음, 그늘짐(음영), 토양·수질 오염, 철새 등의 서식지와 경관 훼손으로 주민 수용성이 낮은데 국정자원 화재로 ESS 화재 위험성이 재부각되면서 수용성이 더 낮아질 수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ESS 화재는 총 55건 발생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