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피해 나흘째 지속 중…‘민원 대란’ 어쩌나

- 전소된 96개 시스템 복구까지 최소 2주 소요
- 화장시설, 개인정보 신고, 무인민원발급 등 불가

지난 28일 국회 행정안전위 위원들이 화재가 발생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을 찾아 외부 침수조에 냉각작업 중인 리튬이온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한 전산망 마비 사태가 나흘째 이어지면서 일선 구청과 읍면동 주민센터 등 민원 현장이 문을 여는 29일부터는 민원 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오전 11시 25분 국정자원 대전 본원 내 네트워크와 보완장비 가동을 시작했다. 화재가 일어난 5층 전산실을 제외하고 2∼4층 전산실 시스템을 순차가동하고 있다. 안정적인 전산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항온·항습기는 그보다 앞선 전날 새벽 5시 30분 복구를 완료해 정상 가동하고 있다.

 

이번 국정자원 화재로 중단된 서비스는 모두 647개다.

 

이 가운데 96개는 화재로 직접 피해를 본 시스템이며 나머지 551개는 전산실 항온·항습기가 꺼지자 보호를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한 시스템이다.

 

정부는 이들 551개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해 정상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다만 전소된 96개 시스템은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존으로 이전해야 해 복구까지 최소 2주가 소요될 예정이다.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내부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주요 서비스가 여기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오후 10시 기준으로 복구된 서비스는 모바일신분증, 보건의료빅데이터 시스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 우체국 금융서비스(인터넷·스마트 예금, 금융상품몰, 인터넷·스마트 보험), 노인맞춤형돌봄·취약노인지원시스템 등 30개에 불과하다. 복구율은 전체의 4.6%에 그친다.

 

복구가 더디게 이뤄지면서 현장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예컨대 2차 신청·지급이 진행 중인 소비쿠폰은 신청·사용은 가능하지만 국민신문고가 중단돼 온라인 이의신청은 불가능해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한다. 전국 화장시설 예약 서비스인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도 접속이 제한돼 개별 화장장에 온라인이나 유선으로 직접 신청해야 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홈페이지도 중단돼 개인정보 침해·유출 신고를 이메일로 받고 있다.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등 국민 이용 빈도가 높은 서비스, 조달청 나라장터 등도 복구되지 않았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은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명하게 상황을 공유하고 업무 연속성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준호 기자 tongil77@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