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권이 지방 금고 주거래은행으로 선점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은행권은 대규모 수신 확대와 지역 고객 확보를 위해 지방 금고 경영권 확보에 힘쓰는 것으로 보인다.
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1년에 13조원이 넘는 예산을 관리하는 경남도의 금고 운영기관 선정 절차가 진행 중이다.
경남도는 올해 말 약정이 만료되는 도 금고를 대신할 금융기관을 지정하기 위해 지난달 19일 공개 모집을 위한 공고를 냈다. 새 금고 약정 기간은 2026년 1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 3년 동안이다.
경남도는 오는 15일 하루 동안 제1금고·제2금고 제안서를 접수받고, 경남도 금고지정심의위원회 심의·평가를 거쳐 다음 달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올해 본예산 기준 경남도 금고 규모는 13조원이 넘는다. 1금고 금융기관은 내년 1월부터 3년간 일반회계와 기금 7개를, 2금고 금융기관은 특별회계(6개)와 기금 6개를 각각 맡는다.
경남도의 금고는 지난 10년 동안 NH농협은행과 BNK경남은행이 번갈아가면서 담당해 왔다. 2023부터 올해까지는 농협은행이 1금고로 10조5000억원을, 경남은행이 2금고로 1조2000여억원을 각각 운용·관리 중이다. 2015~2016년에는 농협은행이 단독으로 금고를 맡았으며, 이후에는 두 은행이 1·2금고를 나눠 운영했다.
앞서 지난달 18일에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4년간 대전시 금고를 운영할 금융기관으로 1금고에 하나은행, 2 금고에 농협은행이 선정됐다. 선정된 금고의 연간 예산 관리 규모는 올해 본예산을 기준으로 제1금과는 6조 6393억원, 제2금과는 약 7618억원에 달한다. 이로써 2008년 복수금고 제도가 도입된 이후 18년째 대전시 1금고를 맡아 운영하는 하나은행은 운영 기간을 4년 더 연장했다.
내년에는 신한은행이 관리하는 48조원 규모의 서울시 1·2금고와 12조원 규모의 인천시 1금고의 경쟁 입찰이 예정돼 있다. 우리은행은 1915년부터 2018년까지 104년간 서울시 금고를 관리해오다 신한은행에 빼앗긴 바 있다. 이에 우리은행은 기관영업전략 담당 인력을 확대하는 등 금고 확보를 위한 영업 강화에 나섰다.
은행권이 지방자치단체 금고 확보를 위해 경쟁을 벌이는 것은 대규모 수신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십조원에 달하는 지자체 금고를 관리·운용할 권한을 확보하면 은행은 안정적으로 큰 수신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지자체와 주거래 은행 계약을 체결하면 지방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점도 은행들이 경쟁에 뛰어드는 이유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역금고를 유치하면 지역 대표 은행이라는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며 “또한 해당 지역의 고객까지 확보할 수 있는 만큼 이를 둘러싼 은행 간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