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복구율 37%…“20개 시스템, 대구센터 이전 시작”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율이 37%를 넘어섰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문화체육관광부 시군구행정·내부 업무포털 지원 등 시스템이 추가로 복구되면서 709개 중 264개, 37.2%가 복구됐다.

 

1등급 시스템 40개 중에는 30개가 정상화됐지만, ▲국가보훈부 통합보훈 ▲국민권익위 국민신문고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안부 공공데이터포털 등 10개 시스템은 복구되지 않았다.

 

중대본은 “독립된 전산실 가운데 복구가 가능한 시스템은 대부분 완료됐으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화재·분진 피해가 큰 5층 전산실과 연계된 시스템들”이라며 “7전산실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우선 복구한 후 시스템도 순차적으로 복구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직접 피해를 입은 시스템 중 20개를 우선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하고, 이전하지 않는 시스템은 대전 본원 내 다른 전산실로 옮겨 복구 작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협의 과정 중에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기준 대구센터로 이전할 대상 20개를 선정했다”며 “일부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사 및 소관부처와 협의를 완료해 이전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한편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중대본 회의에서 “8전산실 전기 공급이 재개된 만큼 복구에 속도를 내야 할 때”라며 “신속하고 성공적인 복구를 위해 앞으로 안전, 보안, 신뢰의 3대 원칙 아래 복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10일 이재명 대통령이 화재 현장을 방문한 점을 언급하며 “대통령께서 신속한 복구와 확고한 재발방지 대책을 강조하셨다”며 “주무장관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며 신속한 시스템 정상화와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정민 기자 mine04@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