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2조 ‘깜짝 실적’…매출도 역대 최대

5분기 만에 10조 클럽 복귀
반도체 훈풍에 DS부문 호실적

삼성전자가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2분기 부진을 털어냈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이 보이고 있다. 뉴시스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12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매출도 분기 최초로 80조원을 넘어선 86조원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한동안 부진했던 반도체 사업이 호실적을 거두며 전사 실적 개선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4일 공시했다. 전 분기(4조6800억원)와 비교하면 158.55%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5분기 만에 10조원대를 회복했다. 또한 이는 2022년 2분기(14조1000억원) 이후 3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삼성전자의 역대 최대 영업이익은 2018년 3분기 달성했던 17조5700억원이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2% 늘고, 전 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분기 매출이 80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거 최대 분기 매출 기록은 지난해 3분기 79조1000억원이었다.

 

특히 이번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이어서 더 주목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 3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3개월 추정치 평균)는 지난 10일 기준 매출 84조1312억원, 영업이익 10조1419억원이다. 영업이익의 경우 시장 예상치를 2조원가량 웃돌았다.

 

이날 부문별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6조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내면서 실적이 크게 반등한 것으로 보고 있다.

 

DS 부문은 지난 2분기 미·중 무역규제 영향 하에 대규모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이 발생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이 났다. 하지만 3분기 들어 D램 가격의 지속적 상승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출하량 증가, 비메모리 사업의 적자 규모 축소 등으로 인해 반등세가 가팔라졌다.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2조원이 넘었던 비메모리 분야 적자도 파운드리 가동률 상승과 함께 이번 분기 1조원가량으로 대폭 줄어든 것으로 추산된다.

 

다른 부문에서는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 사업부가 폴더블 신제품 판매 증가에 힘입어 3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는 1조1000억~1조2000억원, TV·가전은 3000억~4000억원, 하만은 9000억~1조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