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백화점이 일본 이세탄, 영국 해러즈와 자웅을 겨루는 세계 속의 백화점으로 거듭난다.
신세계는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지난 7일 올해 누적 매출(거래액) 3조원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2023년부터 3년 연속 3조원 돌파라는 기념비적인 성과와 함께 달성 시점을 2년 전(12월 24일)보다 두 달, 지난해(11월 28일)보다 3주 앞당기며 최단 기록을 수립했다.
신세계 강남점은 상반기 내수경기 침체 속에서도 이달 초까지 8.1%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며 국내 백화점 중 가장 먼저 3조원을 돌파해 단일 점포 매출 1위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지속적인 투자와 공간혁신으로 본업 경쟁력을 끌어올린 결과다.
강남점은 국내 단일 점포 기준 최대 명품 라인업을 앞세워 매출 4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다.
올해 강남점 명품 매출은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했다. 강남점에는 3대 명품인 에루샤(에르메스∙루이 비통∙샤넬)를 비롯해 구찌, 디올, 보테가베네타, 프라다 등 글로벌 브랜드가 남성·여성 부티크, 뷰티, 슈즈, 주얼리, 키즈 등 세분화된 형태로 100여개 매장에 걸쳐 입점하며 국내 최대 압도적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강남점의 탄탄한 성장에는 견고한 구매력을 가진 VIP(우수고객)가 한몫 했다. 강남점 매출 중 VIP가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처음으로 절반(52%)을 넘겼다. 불황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구매력을 선보이며 VIP 전체 매출 또한 8% 넘는 성장을 보였다.
신세계 강남점은 단기 성과를 넘어 고객 경험을 위한 공간 혁신에도 매진해왔다. 2016년 신관 증축 리뉴얼로 시작된 강남점의 도전은 올해 국내 최대 식품관을 완성하며 결실을 맺었다. 총 6000평(약 2만㎡) 규모를 자랑하는 강남점 식품관은 지난해 선보인 디저트 전문관 ‘스위트파크’와 프리미엄 푸드홀 ‘하우스 오브 신세계’에 이어, 올해 2월 ‘신세계 마켓’과 프리미엄 델리 전문관까지 순차적으로 문을 열며 하나의 거대한 미식의 신세계를 완성했다. 재단장 이후 강남점 식품관은 매출이 20% 이상 늘고 주말 기준 하루 외국인 방문객을 포함해 10만명이 넘게 찾는 글로벌 명소로 거듭났다.
강남점은 K푸드 열풍을 타고 외국인 관광객도 찾는 글로벌 랜드마크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입소문이 난 스위트파크와 하우스 오브 신세계, 델리 전문관을 찾아온 관광객들이 몰리며 외국인 매출이 71% 이상 급증했다.
내년 신세계 강남점의 시선은 매출 4조원을 바라보며 세계 최고 백화점에 향해 있다. 일본의 이세탄 백화점(지난해 약 4조3000억원), 영국 해러즈 백화점(약 4조8000억원) 같은 글로벌 명품 백화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본격적인 경쟁에 나설 계획이다.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대표이사 사장은 “강남점은 매출 3조원 조기달성이라는 성과에 머물지 않고 글로벌 톱 백화점으로 올라서서 K백화점의 위상을 한층 높여 세계속의 백화점으로 사랑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혁신해 나가겠다”며 “강남점을 필두로 전국 주요 거점에서 지역의 랜드마크 점포들로 포진시켜 백화점의 경쟁력을 차원이 다른 레벨로 운영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