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즐기다가 무릎에서 ‘뚝’소리”... 반월상연골 파열 의심

날씨가 풀리며 축구를 즐기는 스포츠 인구가 늘고 있다. 문제는 준비 운동을 충분히 하지 않은 채 몸을 바로 움직여 무릎 통증을 겪는 안타까운 사례마저 부지기수를 이룬다는 점이다. 또 무릎 부상을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억지로 참다가 더욱 큰 통증을 겪기도 한다. 실제로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반월상연골판 파열을 겪는 이들이 많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은 격렬한 스포츠 활동 도중 발병 가능성이 높은 무릎 관절 질환으로 악명이 높다. 반월상연골판이란 무릎 관절 위, 아래뼈 사이에 위치한 신체 조직을 말한다. 관절 사이에 위치하여 신체 하중을 지지하고 관절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만약 축구를 즐기다가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될 경우 충격이 무릎 관절에 고스란히 전달돼 커다란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관절 내 연골 손상마저 가속화되어 퇴행성 질환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면 극심한 무릎 통증과 더불어 무릎 관절 내부에 물이 차는 느낌을 겪는다. 또 무릎에 무언가가 걸리적거리는 느낌이 심해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아울러 무릎이 제대로 펴지지 않거나 어긋나는 느낌, 무릎에서 ‘뚝’소릭 나는 증상, 걷기 불편한 증상 등도 두드러진다.

 

더욱 큰 문제는 반월상연골판 파열 증상을 가벼운 타박상 또는 단순 무릎 관절 염좌로 치부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분명한 점은 반월상연골판 파열과 같은 무릎 관절 조직 손상 사례의 경우 자연 치유나 보존적 요법으로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무릎 통증이 더욱 심해지고 나아가 퇴행성관절염 발병 가능성마저 높이는 만큼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상태가 더 악화되기 전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 및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다. 진단 결과 반월상연골판 파열 증상 초기로 나타났다면 도수치료, 약물요법,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만약 파열 범위가 넓다면 연골판절제술, 봉합술 등의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고도일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방형식 원장은 “방사선 및 MRI 검사 등을 통해 반월상연골판 파열 초기로 진단이 내려졌다면 1~2주 간 압박 붕대, 부목, 소염제 등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에 나설 수 있는데 손상 정도가 심하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반월상연골판 절제술, 반월상연골판 봉합술을 고려한다."며 “치료 후 무릎 관절 과부하 및 재발 방지를 위해 운동 강도를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전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법률사무소 우산

로앤사이언스 법률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