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한 손목통증 손목터널증후군, “정확한 진단 및 치료 중요해요”

현대인의 일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전자기기는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들은 우리의 삶에 편리함을 가져다주지만, 동시에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의 작은 통로인 수근관이 좁아져 정중신경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수근관은 손목 앞쪽 피부 아래에 위치하며, 뼈와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좁은 통로를 통해 9개의 힘줄과 1개의 정중신경이 지나간다. 그러나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염증과 부종이 발생해 수근관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손목과 손가락의 찌릿한 통증이다. 이 통증은 야간에 특히 심해져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질환이 진행될수록 증상은 더욱 심각해진다. 초기에는 간헐적인 통증과 저림 증상이 나타나지만, 점차 손가락의 감각이 둔해지고 근육이 위축되는 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엄지, 검지, 중지를 중심으로 손의 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정하 강남 두발로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손목터널증후군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근전도 검사가 필요하다. 이 검사는 주로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이나 신경과 및 재활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시행되지만, 두발로병원에서는 신경과 전문의와의 협진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손목터널증후군 초기에는 주로 보존적 방법을 시행한다.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 복용, 찜질치료, 물리치료와 함께 손목 사용을 줄이는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치료를 추가로 실시하여 염증과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존적 치료는 일시적 증상 완화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이정하 원장은 “수술은 해당 부위를 3cm 미만으로 절개한 후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횡수근인대를 절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며“수술시간은 30분 이내로 비교적 짧으며, 깁스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수술 후에는 2주간 상처 부위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 말했다.

 

이어 “손목터널증후군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손목 통증이나 저림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법률사무소 우산

로앤사이언스 법률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