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자녀를 둔 송파구에 사는 A씨는 요즘 자녀의 치아 교정 문제로 고민이 깊다. 아이의 치열이 정상적인 위치를 벗어난 부정교합 상태여서 치과 의사는 교정 치료를 권유했다. 그러나 A씨는 아이가 긴 치료 기간 동안 장치를 계속 부착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과 눈에 띄는 심미적인 문제 때문에 선뜻 치료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치아교정은 저작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 전반적인 구강 건강과 자신감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문제는 많은 사람이 교정 치료가 필요함을 알면서도 긴 치료 기간 동안 장치를 계속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과 심미적인 부담으로 인해 치료를 미루는 사례가 흔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치열이나 교합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는 장기간 방치할 경우 질환 발생률을 높이고 턱관절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성장기 아동의 경우 무턱, 돌출입, 주걱턱 등 얼굴 골격의 변화까지 초래할 수 있어 교정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다양한 치아교정 방식의 등장이 이러한 고민을 가진 이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투명 교정 장치인 인비절라인이다.

탁스치과의원 탁선근 원장은 “인비절라인은 일반적인 투명교정과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며 “3D 스캐너를 이용해 구강 전체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전체 교정 과정을 시뮬레이션하여 맞춤형 장치를 제작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체계적인 시스템 덕분에 치료의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며, 환자들은 치료 전에 자신의 치아가 어떻게 이동하고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비절라인의 장점은 심미적인 부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계획된 기간에 맞춰 환자 스스로 장치를 교체할 수 있어 치과 내원 횟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치아교정을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확인하고 지켜야 한다.
탁선근 원장은 “아무리 디지털 장비를 활용하여 계획된 커리큘럼에 맞춰 교정을 진행한다 해도, 치아의 각도, 잇몸 상태, 구강 컨디션, 골격적 조화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의료진의 몫이다”라고 강조한다.
이어 “따라서 교정 치료에 충분한 임상 경험과 데이터를 갖춘 담당의를 선택하는 것이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지름길이다”라고 조언한다.
또한 인비절라인은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도가 성공의 관건이 된다. 탁선근 원장은 “하루 20시간 이상 권장 착용 시간을 지켜야 예측한 대로 다음 단계로 원활하게 넘어갈 수 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님들이 착용 시간을 꼼꼼히 확인하고 격려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