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가 최근 발주한 1조5000억원 규모의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7개가 전남에 들어선다.
6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력거래소가 실시한 2025년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경쟁 입찰에서 전남 도내 영광·무안·진도·고흥·광양·신안 등 6개 시군에서 7개 민간 공공컨소시엄이 모두 선정됐다. 2023년 제주에서 처음 이 사업이 추진된 이후 육지 지역에서는 최초다.
전남이 확보한 낙찰 물량은 총 523㎿ 규모로, 1시간에 523㎿h의 전력량을 ESS에 저장 또는 공급할 수 있는 설비용량이다. 입찰 조건에 따라 6시간 동안 저장 또는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른 ESS의 저장장치(배터리) 규모는 3천138㎿h다. 이는 전남 가구당 일평균 전력소비량(7㎾h)을 기준으로 약 45만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전남도는 이번 입찰 확보로 ESS 제조 및 건설 분야에서 9300여 개 고용 창출이 예상되며, 도내 재생에너지 설비제작 및 시공 업체 등의 매출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전남도는 정부의 전남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산업단지와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 조성과 연계해 지역 내 ESS 산업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현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전남이 국가 전력망 혁신 및 미래 에너지 산업의 중심축”이라며 “도내 대규모 ESS의 획기적인 도입으로 재생에너지가 확대되고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 및 첨단기업 유치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