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무인기 작전 지휘체계 수사… 김용대·이승오 동시 소환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7일 ‘평양 무인기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다시 불러 조사했다. 김 사령관은 지난 14일 12시간 가까운 조사를 받은 지 사흘 만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됐다.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 역시 피의자 신분으로 이날 함께 불려 나왔다.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해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는지를 규명하는 데 수사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평양 무인기 침투 관여 의혹을 받는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이 17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위치한 내란특검에서 진행되는 피의자 조사에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특히 작전이 합참의장을 건너뛴 ‘합참 패싱’으로 이뤄졌는지, 또 윤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김용현 당시 대통령 경호처장이 민간인 신분으로 관여했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김 전 처장이 지난해 6월 군 관계자들에게 비화폰으로 무인기 작전을 문의한 사실도 드러난 상태다.

 

이날 소환된 이승오 본부장은 합참 내 드론사의 공식 지휘 라인에 있는 인물이다. 특검은 그를 상대로 무인기 작전이 정상적인 지휘 체계에 따라 진행됐는지, 김명수 합참의장에게 보고가 이뤄졌는지를 확인 중이다. 김 사령관과의 대질 조사 가능성도 제기된다.

 

작전 이후 군의 은폐 정황도 수사 대상이다. 특검은 드론사가 실제로는 무인기 1대만 띄우고도 2대를 운용한 것처럼 허위 문서를 작성했으며, 추락한 무인기를 훈련 중 분실한 것처럼 꾸몄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GPS 기록을 조작한 흔적까지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계엄 해제 후 전단을 파쇄하거나 국군심리전단에 반납하는 방식으로 증거 인멸이 이뤄졌다는 진술도 나왔다.

 

특검은 지난달 김 사령관에 대해 허위공문서 작성 혐의 등으로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은 기각했다. 다만 이번 조사에서 제기된 의혹들을 재확인한 뒤 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특검은 이날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제3자 내란 방조 의혹’과 ‘북풍 유도’ 메모 등 관련 사항을 조사했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도 참고인으로 출석해 언론사 단전·단수, 국회 경찰 투입 논란 등에 대해 진술했다.

 

18일에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소환할 계획이다. 이 전 장관은 불법 계엄 선포를 방조하고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를 전달하는 등 내란 범죄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 구속 기한은 오는 21일께 만료되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어 추가 조사 없이 기소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