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변형이 만든 큰 고통 무지외반증... "최소침습 수술로 부담↓"

하루 종일 발을 딛고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발 건강은 생각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발의 구조가 틀어지는 질환은 걷는 즐거움뿐 아니라 전신의 균형에도 영향을 준다. 대표적인 것이 무지외반증이다.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면서 발 안쪽 뼈가 튀어나오는 이 질환은 신발 착용 시 통증과 불편감을 유발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관절의 변형까지 심화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증상을 단순한 피로로 여기거나 대수롭지 않게 넘기면서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친다는 점이다.

 

무지외반증은 단순히 미용상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 발의 변형은 체중이 분산되는 방식까지 바꾸어 다른 발가락에 무리를 주고, 심한 경우 무릎이나 허리 통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보통 하이힐이나 폭이 좁은 신발을 자주 신는 경우에 잘 발생하지만, 가족력이나 선천적인 발 모양도 원인으로 작용한다.

 

초기에는 발볼이 넓은 신발을 신거나 교정 보조기를 착용해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나, 통증이 지속되고 변형이 진행된 경우 수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최소침습 수술’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기존의 절개 수술과 달리 피부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통해 특수 기구를 넣어 뼈와 연부조직을 교정하는 방식이다. 조직 손상이 적고 출혈이 줄어 회복 과정에서 부담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 

파주 달리자병원 최승민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무지외반증은 방치할수록 변형이 심해져 치료가 복잡해질 수 있다”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전문의와 상담해 적절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소침습 수술은 수술 후 흉터가 크지 않고 일상 복귀가 비교적 빠른 편이라는 점에서 환자의 심리적 부담을 줄여준다. 다만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변형 정도와 뼈의 상태, 생활 습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술 여부가 결정된다. 의료진의 진단을 통해 본인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무지외반증은 조기 발견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소 발 모양의 변화를 살피고, 신발을 선택할 때 발볼이 좁지 않은지 점검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또한 발 통증이 반복되거나 걸을 때 불편함이 잦다면 단순한 피로로 넘기지 말고 진료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

 

발은 하루에도 수천 번의 보행을 지탱하는 몸의 기초다. 작은 변형이라 해도 방치하면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는 만큼, 적절한 관리와 치료로 발 건강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