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보일러 타워 해체 업체 "사고 원인 추정키 어려워 답답"

코리아카코, 사과문 발표

15일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대형 구조물 붕괴현장에서 공사 하청업체 코리아카코 관계자들이 매몰자 사고수습을 마무리하며 현장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7명이 숨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사고 원인을 추정하기 어렵다는 발파 해체 업체의 주장이 나왔다.

 

코리아카코는 15일 울산화력발전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과문을 발표하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코리아카코는 보일러 타워 4·5·6호기 해체공사의 시공사인 HJ중공업에서 발파 해체 작업을 도급한 업체다.

 

석철기 코리아카코 대표는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예상치 못한 비극을 겪는 유가족께 무거운 마음으로 사과와 위로를 전한다”고 사과했다.

 

코리아카코는 최선을 다해 유가족을 지원하고, 원인 규명에 필요한 수사 절차에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전했다.

 

회사 측은 “추정하는 사고 원인이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추정할 수 없어 우리도 답답하다”고 밝혔다.

 

위험한 작업에 정직원 1명 외에 나머지는 계약직이 투입됐는 지에 대해선 “평소 우리 직원들과 지속해서 일했던 기능공들이고, 일부 일용직은 화재 감시나 신호 등 업무를 맡았다”고 답했다.

 

회사 측은 또 “사고 당시 타워 25m 지점에서는 일부 취약화 작업과 함께 방호재를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며 “시공은 구조검토서대로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와이어를 연결한 전도 공법이 안전 측면에서 낫다는 의견이 있다’는 지적에는 “와이어는 사람이 설치하기 위해 대상물에 직접 올라가고 다가가야 해서 발파 해체 공법이 훨씬 안전하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하지만 회사 측은 ‘현장에 감리가 있었는지, 외부에서도 취약화가 가능한데 왜 내부로 인력을 투입했는지’ 등의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지난 6일 오후 2시 2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 규모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붕괴해 당시 현장에 있던 코리아카코 소속 작업자 9명 가운데 7명이 매몰돼 모두 숨졌다.

 

이중 1명만 정직원이고 나머지는 계약직인 것으로 파악됐다.

 

노성우 기자 sungcow@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