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수도권 공공택지에 2만9000호 규모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이는 ‘9·7 주택공급 확대방안’ 목표를 2000가구 높여 잡은 것으로 판교 신도시 한 개를 새로 조성하는 것과 맞먹는다.
국토교통부는 2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인천도시공사(iH)와 내년 3월부터 연말까지 이 같은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번 공급 규모에 관해 “2만9000가구 규모인 판교급 신도시를 하나 새로 조성한 것에 준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토부는 “4개 공공기관의 올해 분양 물량 (2만2000호)보다 32.2% 증가했고 최근 5년간 평균 수도권 분양 물량(1만2000호)의 약 2.3배 수준으로 공공 부문의 착공 확대 노력의 성과가 가시화하며 공급 확대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지역별 공급규모를 보면 서울 1300가구, 인천 3600가구, 경기 2만3800가구다. 지구별로는 3기 신도시 7500여가구(고양창릉 3881가구∙남양주왕숙 1868가구∙인천계양 1290가구), 2기 신도시 7900여가구(평택고덕 5134가구∙광교 600가구∙화성동탄2 473가구), 기타 중소택지 1만3200여가구(고덕강일 1305가구∙검암역세권 1190가구∙구리갈매역세권 287가구)다. 아울러 올해 남은 기간에도 이달 남양주왕숙(881가구), 군포대야미(1003가구)를 포함해 총 5100가구가 수도권에서 추가로 분양될 예정이다.
또 국토부는 LH 직접 시행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발표했던 LH 소유의 비주택 용지 용도 전환 정례화 제도도 첫발을 내디뎠다고 소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9·7대책을 통해 장기간 활용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계획된 비주택 용지의 용도와 기능을 정례적으로 심의하고 필요하면 주택용지로 전환하는 ‘공공택지 재구조화’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면서 제도 도입 전에는 우선 추진 물량으로 1만5000가구 공급 계획을 수립했다. 이날 LH는 우선 추진 물량의 28%인 4100가구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 유보지 등 비주택 용지의 용도 조정안을 담은 관련 계획 변경안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조정 대상 입지는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455가구), 2기 신도시인 파주운정3(3200가구), 중소택지인 수원당수(490가구)다. 사업지별 공공주택은 지구계획 승인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 순차로 공급할 계획이다. 이중 수원당수는 내년 중 주택 착공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