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 딱딱하고 소화 안된다면… ‘담적병’ 우려

[정희원 기자] 흔히 뒷목과 어깨가 굳고 통증이 있을 때 ‘담에 걸렸다’고 한다.

 

이때 ‘담’(痰)은 체내 진액이 정상적으로 순환되지 못해서 생긴다. 음식물이 제대로 흡수가 안 되고 부패한 물질이기도 하다, 이렇다보니 실제로 과음하거나 과식한 뒤 담에 들렸다고 말하는 사람이 적잖다.

 

예로부터 한의학에서는 ‘십병구담’(十病九痰)이라는 개념을 강조해왔다. 이는 곧 열 가지 병이 있으면 아홉 가지는 담에 의한 것이라는 의미다.

 

가령 담이 쌓여 굳어진 것을 담적(痰積)이라고 한다. 담적은 혈관과 림프액을 타고 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담적이 유발하는 소화기 증상을 비롯한 전신 증상을 담적병(痰積病) 혹은 담적증후군(痰積症候群)이라고 부른다.

 

담적병은 위장의 기능적질환으로 내시경이나 초음파 등의 영상검사에는 진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박지영 부천 으뜸한의원 원장

담적병으로 생기는 현상은 다음과 같다. 우선 소화기증상이 나타난다. 자주 체하고, 배를 누르면 딱딱한 느낌이 들며, 명치가 뻐근하게 아프고, 등 가운데가 늘 아프며, 양치질을 자주 해도 입냄새가 심하다.

 

진액부족으로 인해 안색이 짙어질 수도 있다. 얼굴빛이 누렇게 뜨거나, 다크서클이 짙게 드리운다. 또 혓바닥갈라짐이나 혓바닥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밖에 입이 마르고, 늘 눈이 뻐근하고 침침하며, 안구건조증이 호발한다. 여성은 질건조증을 겪기도 한다.

 

자율신경불균형과 순환부전으로 늘 마음이 불안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깊게 잠들지 못한다. 또 상체는 더운데 속이 차거나, 어지럼증과 두통에 시달린다. 등·허리, 어깨 등이 뭉치거나 옆구리가 아픈 등 통증도 동반될 수 있다.

 

한의학에서 담적병(담적증후군)은 위장과 전신에 퍼진 담적을 제거하고 위장흡수력을 높여 담이 생성되는 것을 막는 데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체질별 한약을 처방한다.

 

박지영 부천 으뜸한의원 원장(한의학 박사)은 “담적병은 선천적인 비위허약(脾胃虛弱) 외에도 과음, 과식, 야식먹기, 불규칙한 식사습관 등 생활습관으로 유발된다”며 “평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생활수칙은 잘 알려진 방법들이다.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30분 이상 천천히 식사하고, 된밥보다 진밥을 먹는 게 좋다. 단, 소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에는 잡곡밥보다 흰쌀밥이 좋다.

 

요리는 구워먹기보다 찌거나 삶아먹는 조리법을 택하고, 식사 후 바로 눕는 행동도 피해야 한다. 이밖에 꾸준한 운동 등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