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식립 고려한다면, 정밀검진부터 받아보세요

[정희원 기자] 과거에는 치아를 상실했을 때 틀니나 브릿지를 많이 이용했지만, 근래에는 임플란트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구조의 인공치아로, 상실된 치아의 기능과 외형을 상당 부분 회복시켜준다.

 

임플란트는 잇몸에 인공치근을 식립한 다음 지대주와 크라운을 차례로 체결하는 방식이다. 각각의 구조물은 치아의 뿌리, 기둥, 머리 역할을 해 고정력과 기능성을 높여준다.

임플란트는 틀니나 브릿지와 달리 주변 조직에 의존하지 않고 잇몸에 단독으로 심어져 제 역할을 수행한다는 데 차이가 있다. 독립적인 구조물이 되기 위해, 다른 치아나 잇몸 표면에 걸치는 방식이 아니라 잇몸에 직접 식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고려할 사항이 많고 과정이 까다로운 술식에 속한다.

 

치과계에 따르면 임플란트 치료의 관건은 잇몸에 어떤 위치와 각도로 식립되는지가의 여부다. 인접한 치아와의 거리, 치조골의 상태 등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다면 임플란트를 식립하더라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재수술을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이창근 경산 하양탑치과 원장은 “기존 임플란트는 의료진의 감에 의존하여 식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기도 했지만 네비게이션 임플란트가 도입되면서부터 이에 대한 우려를 덜어낼 수 있게 됐다”고 말한다.

 

네비게이션 임플란트는 3차원 컴퓨터 모의시술을 통해 잔존 골상태와 신경 및 혈관의 위치, 주변 치아 등을 고려해 임플란트의 안정적인 위치와 각도를 미리 선정하는 치료다. 이를 토대로 수술유도장치를 제작하여 원하는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한다.

 

이 원장은 “이 방식을 통해 시술의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잇몸을 절개하지 않는 무절개임플란트 시술도 가능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출혈과 통증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임플란트 성공률이 다소 낮은 편이지만,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방식을 통해 최소한의 보존적 수술을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창근 원장은 “이전과 달리 임플란트도 디지털 방식이 도입되면서 진단과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영역이 많이 줄어들게 됐다”며 “이전에는 시도조차 어려웠던 당뇨나 고혈압 환자들도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방식으로 진행되더라도 의료진의 숙련도가 뒷받침돼야 하기에 치과 선택 시 디지털 장비의 유무와 의료진의 경험 등을 잘 따져볼 것을 권한다”고 덧붙였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