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듬히 기댄 편한 자세? 통증 유발… 일상 속 허리건강 지키려면

최근 바르지 못한 생활습관으로 인해 허리통증에 시달리는 환자가 많다. 이러한 환자는 대개 20~30대 젊은 연령층에 많은데, 벽에 비스듬히 기대어 앉거나 다리를 꼬고 앉는 등의 자세로 인해 척추 내 추간판이 손상되는 허리디스크가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허리디스크, 즉 척추 추간판 탈출증은 허리 뼈 사이에서 쿠션과도 같은 역할을 하는 추간판이 손상되 자리를 이탈하여 신경근 등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킨다.

40~50대 이상 중장년층의 경우에는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추간판의 탄력이 떨어지며 허리디스크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으나 젊은 층은 외부의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추간판 손상이 진행되기 쉬운 편이다. 허리통증 외에도 다리나 허벅지 등 하지방사통이 생기는 것도 허리디스크의 특징 중 하나다.

 

다만 노년층의 허리통증과 하지통증은 허리디스크가 아니라 척추관협착증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척추관이란 허리에서 신경이 지나가는 일종의 통로를 말하는데, 나이가 들면 주변 인대 등이 두꺼워지면서 척추관 내부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허리와 다리를 잇는 신경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언뜻 보기에 허리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허리디스크 환자의 통증은 걸을 때 호전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오래 걷기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생긴다. 이 밖에도 허리를 구부렸을 때 통증이 심해지면 허리디스크, 완화되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할 수 있는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X-ray나 CT, MRI 등 영상의학 검사가 필요하다.

 

척추불안정성 또한 허리통증의 원인일 수 있다. 척추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멋대로 앞, 뒤, 옆으로 움직이면 척추 내 신경이 자극을 받아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허리 중에서도 엉덩이 위쪽 부근의 척추 양 옆, 즉 흔히 ‘엉치’라 불리는 곳의 통증이 심한 편이다. 다리에 통증이 번지는 방사통도 동반될 수 있는데 잠을 자다가 뒤척거리는 작은 움직임으로도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호매실 손덕희통증의학과 손덕희 원장은 “과거에는 퇴행성 변화나 외상으로 인한 허리통증 환자가 대부분이었지만 요즘에는 젊을 때부터 잘못된 자세, 습관 때문에 허리에 문제가 생기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허리는 몸의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작은 통증이라도 생기면 평범한 일상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허리통증이 나타난 초기, 병원을 찾아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체불균형으로 인해 초래된 허리통증이라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 보존요법만으로도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과 같은 질환도 초기에는 수술 대신 비수술치료와 시술만으로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적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