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은 보험회사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열어 저출산, 고령화, 디지털 전환 등 급변하는 환경에 비해 새로운 보험상품 개발은 지체되고 판매채널 또한 대응이 느리다며, 상품 혁신과 판매채널 확충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보험회사 CEO 간담회는 금융권 릴레이 간담회 일환으로 마련된 것으로 이날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올해는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에 따라 재무정보뿐만 아니라 보험상품개발, 자산부채 관리, 판매전략 전반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언급하며 “재무적 성과에만 치우쳐 상품, 자산관리 등에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장기적 신뢰 형성이 가능하도록 힘써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보험업권이 보험상품 혁신과 건전한 판매채널 확충에 한층 힘써주길 바란다”면서도 정부도 보험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위해 제도개선 등 정책적 지원을 다 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사적 사회안전망으로서 국민을 보호해온 보험업계가 앞으로도 국민과 함께 건강히 성장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서민 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시기에 보험사들이 스스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면 보험에 대한 국민적 신뢰는 더욱 두터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감원장은 “단기 실적을 위한 불건전 영업은 결국 보험사와 소비자 모두에게 미래의 부담이 된다”며 “건전한 영업 관행을 정착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국민의 실생활의 위험을 적시에 보장할 수 있도록 보험상품 혁신과 건전한 판매채널 확충에 힘쓰는 동시에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보험계약자들도 어려운 처지에 놓인 만큼, 보험회사가 신뢰받는 동행자로서 계약자들의 어려움을 덜 수 있도록 관심과 배려를 기울여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보험회사와 생명·손해보험협회는 업권의 상생 필요성에 공감대를 표하고 자체적인 협의를 통해 세부 방안을 마련해 나가는 한편, 보험업계 혁신과 성장을 위해 필요한 건의사항도 제기했다. 이와 관련해 손해보험업계는 2.5~3.0%가량의 자동차보험료 인하와 실손보험료 인상 최소화 등의 사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생명보험업계는 약관대출 금리 인하와 기금출연, 연금보험 상품 출시 등의 상생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신한라이프, 농협생명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 CEO와 생명보험협회장, 손해보험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