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들어 아나운서, 광고모델을 비롯해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을 온라인 교육 후 보험설계사 자격을 부여하는 보험사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되는 원인은 보험사 간 치열해지는 영업경쟁으로 인해 보험설계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그만큼 설계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보험설계사 영입을 위해 보험 계약 건당 지급하는 수수료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8일 교보라이프플래닛이 전국 보험 소비자 만25~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보험 계약을 해지하는 이유로 ‘상품에 대한 불만’이 58.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설계사의 낮은 전문성'이 23.8%로 해당 조사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일부 소비자들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D)도 진행했다. 그 결과에서도 설계사의 불필요한 상품 판매, 보험에 대한 이해 부족, 중도 이탈로 잦은 담당자 변경 등을 설계사 이용에 있어 불만 요소로 꼽았다.
FGD 심층 인터뷰에서 일부 응답자는 보험설계사 이용 경험에 대해 “설계사들은 담당자도 자주 바뀌고 경험이 없는 사람이 설명하는 경우도 있어 전문가라기보다는 영업사원 같은 느낌이 들 때가 많다”고 응답했다.
보험설계사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에 대해서도 변화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적극적으로 보험에 가입하는 고관여 고객에게 ‘설계사가 없는 디지털 채널을 통한 보험 이용’ 의향을 물은 결과, 기존 설계사를 통해 보험에 가입한 사람 중 절반이 넘는 51.7%가 향후 보험 가입 시에는 디지털 채널을 통한 보험 이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기존 비대면 채널을 통해 보험을 이용한 고객은 차후에도 디지털 채널을 통해 보험을 이용하겠다는 응답자가 67.5%에 달해 만족도가 높았다.
과거와 달리 비대면 스마트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불필요한 인적 대면과 중간 유통 과정 없이 고객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실속 있게 소비하는 트렌드가 보험 소비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고 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트렌드 변화에 국내 유일 디지털 보험사인 라이프플래닛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옴니채널 세일즈 플랫폼을 구축하고 채팅이나 전화 상담 등을 통해 고객이 스스로 보험 가입 시 겪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설계사 없이도 혼자서 손쉽게 상품 탐색부터 설계–청약-관리까지 원스톱에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 중이다. 그뿐만 아니라, 비대면 스마트 보험 소비가 대세가 되는 만큼 ‘설계사 수수료 없는 알뜰 보험’을 모토로 보장은 충실하면서도 설계사 수수료 제로의 저렴한 보험을 꾸준히 출시할 계획이다.
라이프플래닛 관계자는 “이제 핸드폰만 있으면 설계사 수수료 없는 알뜰 보험을 누구나 손쉽게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가입할 수 있는 시대”라며 “다양한 콘텐츠로 일상의 즐거움을 구독하는 OTT 서비스처럼, 보험도 일상의 안심을 구독하는 서비스로 인식될 수 있도록 보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