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부품 1차 협력사 영업이익 12% 줄어... 엎친데 덮쳐 올해 전망도 먹구름

img
지난해 국내 자동차부품 1차 협력사들의 실적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둔화와 내수 침체 여파로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 관세 부담이 가중돼 올해 전망도 어둡다.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뉴시스 

 지난해 국내 자동차부품 1차 협력사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 둔화와 내수 침체로 고전하는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 관세 부담이 가중돼 올해 전망도 어둡다. 

 

 11일 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상장된 자동차부품 1차 협력사 83곳(현대모비스∙현대위아 제외)의 매출은 81조2249억원으로 전년보다 3.7%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3조496억원으로 전년 대비 11.7%나 줄었다. 

 

 지난해 완성차업계의 판매 부진이 후방 산업인 부품업계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 업체 5개 사(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KG모빌리티)의 글로벌 판매량은 794만7170대로 전년보다 0.6% 줄었다. 특히 내수 판매량은 6.4% 줄어든 135만8842대에 그치며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114만5000대)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문제는 미국의 관세폭탄으로 올해 전망에도 먹구름이 꼈다는 점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고, 이달 3일부터 자동차부품으로 25% 관세 조치를 확대했다.

 

 대미 수출 비중이 큰 한국 부품업체들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은 한국의 최대 자동차부품 수출 시장으로, 한국의 자동차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로 커졌다. 미국의 자동차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 비중은 지난해 기준 6.4%이며 금액으로는 135억달러(약 19조원)에 달한다. 수출 품목별로는 배터리·모터 등 전동화 부품과 새시·구동축 부품이 각각 30억 달러(약 4조2000억원), 자동차용 전자·전기 부품 25억 달러(약 3조5000억원), 차체 및 부품 23억 달러(약 3조2000억원), 엔진 및 부품 13억 달러(약 1억8000억원), 타이어 및 튜브 8억 달러(약 1조1200억원) 규모였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향후 2년간 부품 관세를 일부 완화하는 조치를 발표해 최악의 상황은 피했지만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며 “대기업은 강력한 재무 구조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앞세워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지만 군소 부품업체는 완성차 업계와 협상력이 떨어지는 등 외부 충격에 취약해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