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 김문수, 버스 무료탑승과 치매노인 국가책임제 확대 약속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왼쪽)가 19일 서울 중구 부영 태평빌딩 대한노인회를 방문, 이중근 회장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역시 10대 정책공약에 노인 복지를 포함시켰다.

 

 김 후보는 19일 서울 용산구 대한노인회를 찾아 각종 노인 복지 공약 및 저출산 대책 등을 제시하며 노년층 표심잡기에 나섰다.

 

 김 후보는 이날 간담회에서 부영그룹 회장이기도 한 이중근 대한노인회장이 부영그룹 직원의 자녀 1명 출생 시 1억원을 지급한 것에 대해 “이 회장님이 하는 것처럼 젊은 사람들이 귀가 번쩍 떠지도록 그렇게 좀 해야 안 되겠느냐”면서 “노후를 건강하고 활기차게 보내실 수 있도록 국가가 뒷받침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앞서 김 후보는 대선 10대 공약 중 여섯 번째 의료·복지 부문을 통해 사회 서비스형 어르신 복지 일자리 확충, 어르신 데이케어센터 이용시간 확대, 요양병원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치매 안심 국가책임제 강화 등을 제시했다.

 

 김 후보는 어버이날이던 지난 8일 SNS를 통해 “진단, 간병, 요양의 어려움을 겪고 계신 가족들에 대한 지원을 늘려가겠다. 치매 치료 돌봄 코디네이션을 확대하겠다”고 밝히며 치매 안심 국가책임제 확대를 강조하기도 했다. 또 “65세 어머님, 아버님들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버스 무료 승차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현행 지하철에만 적용 중인 고령층의 무료승차 제도를 버스로도 확대한다는 공약이다. 다만 혼잡한 출퇴근 시간을 고려해 평일 오전 7~9시, 오후 5시 이후에는 기존대로 유임승차가 적용된다.

 

 이와 함께 농어촌 및 고령화 심화 지역에 한해서 일반 개인 차량을 활용한 유상 승차공유를 합법화한 농촌형 우버 택시 도입을 약속했다. 경기도지사 시절 광역급행철도(GTX) 정책으로 호평을 받은 김 후보가 노인 정책에 있어서도 교통을 활용하는 모양새다.

 

 아울러 김 후보는 고령층 주거안정을 위한 공공주택 특별공급도 공약했다. 신규 공공주택의 25%를 고령층에 특별공급하고, 의료·돌봄·식사 등 편의시설을 의무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특별공급으로 이주가 시작되면 고령층이 거주하던 중대형 아파트 약 200만호가 시장에 풀리는 등 유휴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는 기대다.

 

또 대선 10대 공약 중 6순위인 의료·복지 부문 공약에도 ▲사회 서비스형 어르신 복지 일자리 확충 ▲어르신 데이케어센터 이용시간 확대 ▲요양병원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치매 안심 국가책임제 강화 ▲치매 돌봄 코디네이션 확대 ▲어르신 건강심부름택시 운영 등을 제시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